분류 전체보기5601 라캉의 글쓰기란? [100-89]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자크 라캉의 소유할 수 없는 편지 (김서영 씀) “개별적 세상, 내 방식, 나를 드러내는 삶, 바로 그것이 라캉/프로이트/정신분석이 궁극적으로 꿈꾼 세상이었죠. (중략) 이렇게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겁니다. 라캉은 그것을 ‘글쓰기’라고 불러요.” 나의 문장)라캉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인간이 단순히 주어진 환경이나 사회적 규범에 따라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의미를 창조할 수 있는 능동적인 존재임을 강조한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에 억압된 욕망이 개인의 행동과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억압된 욕망이 꿈, 실수, 예술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욕망을 직면하고 통합함으로써 인.. 2025. 1. 3. 라캉의 주이상스(jouissance) [100-88]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자크 라캉의 소유할 수 없는 편지 (김서영 씀) “세미나 23에서 라캉은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1882~1941)를 분석하는데요. 이때 그는 자신을 비판했던 데리다를 슬며시 모방하고 있어요. 그는 이제 보로메오 매듭이 네 개라고 말합니다. 마지막 매듭의 이름이 바로 생톰이에요. 생톰은 세 개의 원을 이어내는 네 번째 원으로서, 이것은 상징계 속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세상을 만들 수 있는 주체의 실재적 가능성을 뜻합니다.” 나의 문장)라캉은 그의 세미나 23에서 제임스 조이스를 분석하면서 보로메오 매듭이라는 개념을 활용한다. 보로메오 매듭은 인간 정신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구로, 세 개의 고리가 서로 얽혀 있는 구조를 이.. 2025. 1. 2. 라캉 식의 삶의 불안을 껴안는 법 [100-87]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자크 라캉의 소유할 수 없는 편지 (김서영 씀)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내 마음대로 살면 됩니다. 그 자리가 비어 있으니, 아무것도 없는 자리에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거죠. 정답이 없다는 건 무한한 자유를 의미합니다. 내가 무엇이든 할 수 있게 되니까요. 대신 우리는 그 대가를 지불해야 됩니다. 그건 바로 ‘불안’이죠. 상징계는 의미가 끊임없이 변하며 모든 것이 가능한 영역인 대신, 상당히 불안한 공간이에요.” 나의 문장)새해 첫날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라는 질문을 하며 “내 마음대로 살면 됩니다.”라는 대답을 듣는 시간, 빙긋 웃는다. 라캉 또한 하늘의 별이 되어 함께 웃을 것도 같다. 라캉의 철학을 빌면, 우리의 삶은 .. 2025. 1. 1. 라캉의 <도둑맞은 편지> 이야기와 나의 1년 [100-86] 4기 김은 이야기와 나의 1년>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자크 라캉의 소유할 수 없는 편지 (김서영 씀) “라캉은 를 분석하며 두 개의 반복되는 구조를 발견합니다. 그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라캉의 중심 개념들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가 모두 언급될 거예요.” 나의 문장)에드거 앨런 포의 단편소설 ‘도둑맞은 편지(The Purloined Letter)’는 1844년에 발표된 탐정 소설로, 그의 대표적인 탐정 캐릭터인 C. 오귀스트 뒤팽이 등장하며 파리에서 벌어진 한 사건을 다룬다. 프랑스 여왕은 민감한 내용이 담긴 편지를 받고 이를 비밀리에 간직하려 하지만, D 장관이 그녀의 방을 방문한 중에 그 편지를 훔쳐간다. 여왕은 편지를 통해 장관이 자신을 협박할 것을 우.. 2024. 12. 31. 자크 라캉 이야기의 시작 [100-85]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자크 라캉의 소유할 수 없는 편지 (김서영 씀) “《에크리》를 열면 제일 처음에 에 대한 세미나>가 나와요. 라캉은 서문에서 이것이 자신의 책 전체를 요약한다는 가장 중심적인 글이므로 연대순에 어긋나지만 맨 처음에 넣었고, 따라서 이 글을 읽음으로써 독자가 자신의 스타일 속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세미나>는 《에크리》의 내용이 고스란히 집약되어 있는 마술 같은 글이랍니다.” 나의 문장)이제 롤랑 바르트와의 짧은 산책을 마치고 기다리고 있는 자크 라캉과의 산책에 나섰다. 먼저 그의 생애와 그의 저작에 대한 짧은 개관을 해보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은 1901년 프랑스 파리.. 2024. 12. 30. 작별하지않는다/한강/문학동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 4.3사건과 한국전쟁 시기의 국가폭력을 다루며, 역사적 비극과 그 희생자들에 대한 깊은 애도를 담고 있다. 이 소설은 현실과 꿈이 교차하는 몽환적이고 시적인 산문으로, 역사적 대참사의 고통과 상처를 기억하고 애도하는 서사를 펼친다. 나는 소설 속 두 인물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다. 인선에게안녕하세요, 인선님?당신이 견뎌온 날들, 그리고 살아내고자 했던 시간들을 떠올리며 이렇게 편지를 씁니다. 저는 당신의 이야기를 읽으며 숨죽여 당신을 바라봤습니다. 당신이 지나온 길 위에는 고통과 상처, 부재의 무게가 짙게 깔려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당신은 스스로를 잃지 않고, 오히려 당당하고 묵묵하게 자신의 삶, 목표를 향해 살아갔더군요. 세대를 연결하는 그리움과 기억은 당.. 2024. 12. 2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9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