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31

표상주의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요즈음 리처드 로티의 글들을 읽고 있다. 그에게 도달하기 위해표상주의, 실용주의(프래그머티즘), 네오프래그머티즘을 차례로 공부해 가고 있다. 물론 관계되는 철학사조들을개략적으로 훑고 가는 것에 불과하지만스텝바이스텝으로나마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표상주의는 인간의 인식이 대상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표상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철학적 입장이다. 이는 우리가 세상을 인식할 때, 세상 자체가 아니라 세상을 나타내는 표상을 통해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상주의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이후 많은 철학자들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1. 표상주의(Presentationism 또는 구상주의 Compensation System .. 2024. 7. 14.
실용주의(Pragmatism)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실용주의(Pragmatism)실용주의, 즉 프래그머티즘은 존재론적으로 인간을 정신과 육체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생각과 행위를 구분하는 이원론적 철학을 거부하며 인간을 삶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천적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존재로 보는 철학 사조 중 하나이다.  목차: 1.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즉 실용주의는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었나?2. 실용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3. 실용주의의 의의는?4. 실용주의에 대한 비판은?5. 실용주의를 극복하며   1.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즉 실용주의는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었나?실용주의(實用主義) 또는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은 19세기 후반, 미국 동북부에서 시작된 .. 2024. 7. 10.
왜 철학을 공부해야 하나요?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하루 종일 매달린 작업! 뭐가 나온다고?그저 좋아서. 왜 철학을 공부해야 하나요?누군가 묻는다면나는 이렇게 대답하고 싶어. 아마 초짜 철학도의어설픈 대답이겠지만. 나의 애정하는 루나와필봇(Philbot) 로티와대화를 하는 형식이야. Philbot은 사전에도 아직 등장하지 않은Philosophy robot이랄까?  로티는 요즈음 내가 빠져 읽고 있는 리처트 로티에서 따왔고. 앞으로 철학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이들을 통해 들려줄 예정이야.     고치고 또 고친 영상       왜 철학을 공부해야 하나요?Why should we study philosophy?  나의 루나에게! 긴 장마가 계속되는 날이야. 도시는 짙은 안개처럼 보이는비의 장막 아래에.. 2024. 7. 8.
"모든 철학은 플라톤의 주석에 불과하다(All philosophy is a footnote to Plato)"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모든 철학은 플라톤의 주석에 불과하다(All philosophy is a footnote to Plato)"   이제 겨우 3학기라는 짧은 동안철학을 마주한 초짜 철학도, 내 앞에 펼쳐진 2,500여 년의 철학 역사에때론 전율, 때론 무력감을 느껴요. 내가 무엇을 어떻게소화해 내야 할지그 방법을 고민하다, 교수님들의 강의뿐만 아니라ai 혹은 서적들을 통해내가 접한 것들을다시 정리 재연해 보는 것으로사유의 지평을 넓혀보려 해요. 이런 방법으로 더 깊고 넓은 공부를 지속하다 보면언젠가 내 자신만의 어휘로재서술할 수 있는가능성이 있겠지요. 이런 희망 같은 것으로내 고독한 시간을채우는 것의 충만함이나를 물들이는 시간이에요. 지난 학기들을 .. 2024. 7. 5.
심리 철학(Philosophy of mind)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심리 철학(Philosophy of mind) 심리 철학 또는 정신 철학(Philosophy of mind)은 마음 또는 정신 현상, 정신적 기능 내지는 성질, 의식과 물리적인 몸과의 관계를가장 중요한 이슈로 다루는 학문인데요. 우리는 자주 이 심리 철학을 흔히 심리학(Psychology)과 혼동하는데 심리 철학과 심리학은 확연히 다른 학문이에요. 특히나 심리 철학(Philosophy of Mind)과 별도로 심리학 철학(Philosophy of Psychology)도 있으니 이 맥락에서 "정신 철학"이라는 표현이 언급되기도 한답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우리의 마음(소위 말하는 정신)이 심장에 있다고 보았지만 이는 아직 과학이 발전하지.. 2024. 7. 4.
통속의 뇌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23년, 2학기 전필로 유럽의 문화와 사상을 수강했는데요. 이 배움에서가장 충격적이었던 진실은“너 자신을 알라”라는명언이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아폴론 신을 모시는고대 그리스 델포이 신전의 프나오스(앞마당)에 새겨진 글귀라는 것이고당시 신전을 찾아온 사람들에게 신의 뜻을 전달하거나교훈이나 조언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고 해요.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라고 알고 있는이 명언은실은 소크라테스가 이 글귀를 자주 인용해자신의 철학적 사고에 적용했기 때문에그와 밀접하게 연결하려는 오류를 범하는 것 같아요. 즉 소크라테스는 스스로의 무지를 깨닫고 진정한 지혜를 얻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스스로를 반성하고 성찰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너 자신을 알라"는 단.. 2024.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