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35 플라톤의 상기설(Theory of Recollection) [100-20]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파이돈』“어떤 사람이 뭔가를 보고서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이것은 있는 것들 중의 다른 어떤 것과 마찬가지이기를 원하지만, 그러기엔 부족하고, 그것처럼 그러할 수 없으며, 더 열등하다.’라고 생각할 때, 이 생각을 하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그가 그것과 유사하지만 그것이기엔 부족한 상태라고 말하는 저 대상을 어쨌든 이전에 알고 있었어야만 한다는 것 말일세.” 나의 문장)위의 인용 문구는 플라톤의 상기설(Theory of Recollection)을 설명하기 위해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한 이야기이다. 즉 플라톤은 우리가 가진 지식은 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부터 영혼이 가지고 있던 것이라는 지식의 본질에 관한 말이다. 즉 우리가 무언가를 배운다고 할 때,.. 2024. 10. 27. 플라톤의 『파이돈』을 읽기 시작하며 [100-19] 4기 김은 플라톤의 『파이돈』을 읽기 시작하며플라톤의 『파이돈』“사람들이 즐거움이라 부르는 이것은 얼마나 기이한 어떤 것인 듯싶은지! 그것은 그것에 반대된다고 생각되는 것, 즉 고통과는 얼마나 놀랍게 연관되어 있는지! 이 둘이 사람에게 동시에 일어나려 하지는 않을 텐데도, 만일 누군가가 둘 중 하나를 좇아 그것을 취하면 필연적으로 늘 다른 한쪽도 취하게 되게 마련이건든. 마치 그 둘이 한 머리에 붙어 있는 것처럼 말일세.” 나의 문장)오늘부터 읽기 시작한 플라톤의 『파이돈』은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앞두고 제자들과 나누는 대화로, 죽음의 의미와 철학자의 태도에 대한 대화체이다. 소크라테스는 죽음 직전 감옥에서 영혼 불멸설, 상기설, 이데아론, 철학적 삶의 중요성 등을 논하다가 마침내 독배를 .. 2024. 10. 27. 플라톤의 시인에 대한 비판과 영혼의 불멸 및 정의의 보상 [100-17] 4기 김은 ‘플라톤의 시인에 대한 비판과 영혼의 불멸 및 정의의 보상’ [원 문장] 『플라톤 국가』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영혼은 온갖 나쁜 것과 좋은 것을 견뎌낼 수 있는 불멸의 것이라는 내 말을 믿는다면 우리는 언제나 위로 향한 길을 걷고 모든 일에서 지혜를 따라 정의를 행할 것이네. 그렇게 해야만 이승에 머물러 있을 때나 경기 우승자들이 상을 받듯이 나중에 정의가 주는 상을 받을 때나, 우리 자신과 신들의 친구가 되어 이승에서는 우리 앞에 놓인 천 년의 여정에서든 잘 지내게 될 것이네.” 『플라톤 국가』 제10권은 시인에 대한 비판과 영혼의 불멸 및 정의의 보상에 관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톤은 시와 예술이 모방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며 예술이 현실을 모방하는 것이며, 현실.. 2024. 10. 27. 철인 정치의 실현을 회의하는 플라톤 [100-16] 4기 김은 '철인 정치의 실현을 회의하는 플라톤' [원 문장] 『플라톤 국가』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그 국가는 그런 국가를 보고 싶어 하는 사람과 그런 국가에 살고 싶어 하는 사람을 위해 하늘에 그 본이 세워져 있네. 그는 다른 국가의 정치를 하는 게 아니라 바로 그 국가의 정치만 할 테니 말일세.” 나의 문장)『플라톤 국가』 제9권은 주로 참주 정체를 닮은 인간의 특성과 그러한 인간의 불행에 대해 다루는데 에로스(욕망)가 혼을 지배하게 되면서 참주적 인간이 탄생하고 이러한 인간은 이성적 부분이 약화되고 욕망이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 이르며 모든 부끄러움과 분별에서 벗어나 폭력, 살인, 근친상간 등 극단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고 말하며 이러한 참주적 인간의 혼은 이성적 부분이 약화.. 2024. 10. 27. 플라톤의 정치 체제와 인간 영혼의 구조 비교 백일백문장 백일백문장 [100-15] 4기 김은 ‘플라톤의 정치 체제와 인간 영혼의 구조 비교’ [원 문장] 『플라톤 국가』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다음으로는 그보다 못한 사람들, 즉 스파르타가 채택한 정치체제를 닮아 승부욕과 명예욕이 강한 사람을 다루고 이어서 과두정을 닮은 사람, 민주정을 닮은 사람, 참주정을 닮은 사람을 다루어보세.” 나의 문장)어제는 『플라톤 국가』 8권에서 다룬 플라톤의 다섯 가지 정치 체제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오늘은 철인왕(귀족정)이 지배하는 체제, 명예정 체제, 과두정 체제, 민주정 체제, 참주정 체제를 구분해 정치체제의 변화를 인간 영혼의 구조와 연관 지어 설명하는 부분에 대해 생각해보려는데 플라톤은 각 정체가 인간 영혼의 특정 부분이 지배하는 상태를 반영한다고 보.. 2024. 10. 21. 이상국가를 꿈꿨던 플라톤이 주장하는 정치체제의 모순들 백일백문장 [100-14]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 국가』 플라톤 지음/ 박문재 옮김 “내가 말하려 했던 정치체제는 이미 고유한 명칭이 있다네. 그중 하나는 많은 사람에게 칭찬받고 크레타와 스파르타가 채택하고 있는 바로 그 정치제제네. 두 번째 정치체제는 그 다음으로 칭찬받는 과두정이라는 것으로 나쁜 점이 많은 정치체제지. 과두정과는 반대되면서 그 후로 생긴 정치체제는 민주정이네. 마지막 정치체제는 이 모든 것과 다르고 병적인 말기 증상을 보이는 고매한 참주정이네.” 나의 문장)『플라톤 국가』 8권에서 플라톤은 네 가지 정치체제를 설명한다. 물론 그는 이데아, 특히 선의 이데아에 대한 진정한 지식과 이성에 의해 지배되는 가장 고결한 영혼을 가진, 철학자 왕이 통치하는 이상적인 국가를 계속 거론해.. 2024. 10. 20.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