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35

플라톤의 『향연』 디오티마의 사랑의 사다리를 통한 플라톤의 에로스관 [100-32]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향연』 강철웅 옮김“언젠가 내가 만티네아 여인 디오티마에게 들은, 에로스에 관한 이야기를 자네들에게 죽 이야기해 보기로 하겠네. 나와 아가톤이 합의해 놓은 것들을 출발점으로 삼아서, 그러나 할 수 있는 한 나 혼자서 말일세.” 나의 문장)위 인용구는 아카톤의 집에서 벌어진 향연에 참석했던 사람들이 에로스에 대해 차례로 연설하는데, 아가톤 연설 후 소크라테스 차례가 되었을 때, 소크라테스는 아가톤의 에로스에 대한 찬미를 반박하며 에로스의 본질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철학적 고찰을 제시하는 장면에 등장한다. 소크라테스는 먼저 아가톤의 주장, 즉 에로스가 모든 미덕을 지닌 최고의 존재라는 견해를 반박하며 디오티마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서두를 붙이며 그의 에로스 관.. 2024. 11. 8.
플라톤의 『향연』 속 아가톤의 에로스 [100-31]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향연』 강철웅 옮김“자, 이제 그 신의 정의와 절제, 용기에 관해서는 이야기가 되었고, 지혜에 관해서 이야기가 남아있네. 그러니 할 수 있는 한 빠짐없이 이야기하도록 노력해야겠네.” 나의 문장) 플라톤의 『향연』 속 배경은 비극 시인 아가톤이 기원전 416년경 비극 경연에서 첫 우승한 기념으로 아가톤의 집에서 벌어진 향연의 전편에서 언급한 사람들과 함께 소크라테스 등이 사랑(에로스)이야기를 플라톤이 기원전 404년 전후로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인용구는 문학적 기교와 수사학적 표현이 돋보이는 비극 시인 아카톤이 에로스를 찬미하는 내용 중 일부이다. 아가톤은 신이나 인간에게 불의를 저지르지 않는 에로스의 정의로움과, 쾌락의 주인이지만 절제를 할 수 있고,.. 2024. 11. 7.
플라톤의 『향연』 속 아리스토파네스의 에로스 [100-30]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향연』 강철웅 옮김“우리 인간 종족은 우리가 사랑을 온전히 이루어서 각자가 자기 애인을 만나 옛 본성으로 돌아가게 될 때 행복하게 될 거라고 말일세.” 나의 문장)인용된 문구는 플라톤의 『향연』속, 아가톤의 집에서 열린 연회가 배경인데, 이 연회의 참석자들은 각자 에로스(사랑의 신)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도록 요청받았고 이 요청에 응해 아리스토파네스가 사랑(에로스)의 기원과 본질에 대한 신화적 설명한 부분 중 일부이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고대 그리스의 가장 유명한 희극 작가로, 현존하는 유일한 고대 그리스 희극의 작품들을 남겼다. 그는 아테네 출신으로 기원전 460-450년경에 태어나 기원전 386-380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의 삶에 대해 알려.. 2024. 11. 6.
플라톤의 『향연』을 읽기 시작하며, 에로스에 대해 [100-28]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향연』 강철웅 옮김“에로스가 신들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가장 존경받을 만하고 또 살아 있든 죽은 후에는 인간들에게 있어서 덕과 행복을 얻는 일과 관련하여 가장 권위 있는 자라고 말이네.” 나의 문장)그리스 신화에서 에로스는 사랑과 성애의 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계보를 보면 일반적으로 아레스(전쟁의 신)와 아프로디테(사랑과 미의 여신)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로마 신화에서는 큐피드 또는 아모르로 알려져 있다. 외형으로는 주로 날개 달린 소년이나 청년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이는 사랑의 신속함과 자유로운 특성을 상징한다. 그는 또한 상징적 도구로 활과 화살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유명한데 특히 두 종류의 화살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맞은 사람을 사랑에 빠지게.. 2024. 11. 4.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기도 [100-28]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김주일 옮김“친애하는 판과 이곳의 다른 모든 신들이시여, 저의 내면이 아름다워지도록 허락하소서. 제가 밖으로 가진 모든 것이 제 안에 있는 것과 우애 있도록 허락하소서. 제가 지혜로운 자를 부유한 자로 여기게 하소서. 절제 있는 자 말고는 다른 누구도 나를 수도 끌고 갈 수도 없는 만큼의 그득한 황금이 제게 있게 하소서.” 나의 문장)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이 기도문은 『파이드로스』 대화편의 마지막 부분에서 등장하는 것으로 소크라테스가 파이드로스와 긴 대화를 나눈 후, 떠나기 전의 기도문이다. “저의 내면이 아름다워지도록 허락하소서.”라는 구절은 소크라테스가 외적인 아름다움보다 내적인 아름다움, 즉 덕성과 지혜를 중요하.. 2024. 11. 3.
한국고전문학사에 대한 나의 견해 복수전공으로 국문학을 선택했는데 2학년 2학기 과목 중 ‘한국고전문학사’가 있고 다음 글은 과제중 하나이다.  한국고전문학사에 대한 나의 견해) 한국 고전문학사를 비평한다는 것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그 시대의 사회, 문화, 사상이 문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깊이 있게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이지만 짧은 시간과 미천한 경력과 얇은 지식으로 과연 올바르게 한국 고전 문학사를 비평할 수 있을까,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우선 방대한 한국 고전문학사 중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출지 명확히 정해야 하고 특정 시대, 작가, 장르, 또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할 수 있을지, 단순한 설명보다는 독창적인 시각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기존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 2024.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