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35

이인직의 『혈의 누』 작품론 현재 수강과목 중 란 과목이 있다. 수업 과정 중 읽은 작품의 작품론을 쓰라는 과제를 나름 충실히 했으나, 기존 작품론들을 편집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하여도 내 나름의 안목에 의한 배치였으므로 작성하는 내내 즐거웠다.  나는 한국의 계몽기 문학의 대표 작가라고 할 수 있는 이인직의 『혈의 누』를 중심으로 작품론을 작성했다.  1, 작품 개요이인직의 『혈의 누』는 1906년 7월 22일부터 10월 10일까지 〈만세보〉에 총 50회 연재된 소설로 1907년 3월 단행본으로 출간되었고 그 이후 〈제국신문〉과 〈매일신보〉에 추가 연재되었던 한국 문학사상 최초의 신소설로 평가되었으며 근대소설로 이행하는 시기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으며 구한말 조선의 시대상과 근대화 과정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2. 주요 서사 구.. 2024. 11. 2.
셸리 리드의 소설 『흐르는 강물처럼』 다산책방 군산대 독서토론 모임인 ‘필담’에서 읽은 소설이다. 때마침 2학기 중간고사 ‘문화로 읽는 한국문학’ 과목에서 욕망을 체화한 소설을 예를 들고 서술하라는 유형의 시험 고지가 있어 아래와 같이 분석해 보았다. 셸리 리드의 소설 『흐르는 강물처럼』 다산책방Shelley Read의 『Go as a River』는 캐릭터의 삶을 변화시키는 욕망을 구현한 작품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데 소설은 개인적, 정서적, 환경적 측면에서 욕구를 다층적으로 묘사하며, 성취되거나 이루어지지 않은 등장인물의 욕구에 따른 삶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 줄거리)17세의 빅토리아 내쉬(Victoria Nash)는 콜로라도주 아이올라라는 작은 마을에 있는 가족의 복숭아 농장에서 산다. 그녀가 사는 마을은 조용하고 고립되어 있으며, 빅토리아의 .. 2024. 11. 2.
플라토닉 러브 [100-27]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김주일 옮김“한편 우리는 신적인 이탈을 네 신에 따른 네 부류로 나누어서 아폴론의 영감은 예언술(預言術), 디오뉘소스의 영감은 비의술(秘儀術), 다시 무사 여신들의 영감은 시작술(詩作術), 아프로디테와 에로스의 영감은 네 번째 부류로 놓고서, 사랑에 관한 광기를 최고의 광기라고 주장했네.”  나의 문장)위 언급된 문구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려 ‘신적인 광기(divine madness)’에 대해 언급한 일부로 소크라테스는 사랑(에로스)의 본질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는 사랑을 단순한 인간적 감정이 아닌 신적인 영역과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려 한다. 즉 신적인 광기는 네 가지 유형이 있는데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인 아폴론의.. 2024. 11. 2.
플라톤의 영혼불멸설 백일백문장[100-26] 4기 김은 [원 문장]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김주일 옮김“자신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은 죽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바로 이런 것이 혼의 본질과 정의(定義)라 말해서 부끄러울 게 없다. 왜냐하면 움직임이 바깥에서 주어지는 모든 물체는 혼이 없는 것이지만, 자신 안에서 자신으로부터 움직임이 주어지는 것은 – 혼의 본성이 그런 것이기에 – 혼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에 혼 말고는 다른 어떤 것도 자신이 자신을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 있는 그대로의 사실이라면, 필연적으로 혼은 생기지도 않고 죽지도 않을 것이다.” 나의 문장) 소크라테스와 파이드로스 사이의 대화를 담고 있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에는 주로 사랑, 수사학, 그리고 영혼의 본질에 대해 논의한다. 위의 문장들은 영.. 2024. 11. 1.
영화 <바그다드 카페> 군산시 동네문화 카페의 프로그램 중 ‘영화와 철학’이라는 과목에서 영화 ‘메멘토’에 이어 두 번째 영화로 1987년에 독일 감독 퍼시 아들론이 연출한, 미국과 독일의 합작품인 ‘바그다드 카페’를 시청했다. 개인적으로 영화 속 주제곡이 늘 귓가에 맴도는 내가 손꼽는 내 20대 영화 중 하나라고나 할까? 판타지적 요소가 짙게 깔려 있고 행복한 결말과 상승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오는 흐뭇함이 오래도록 마음을 따듯하게 하는 영화였다. 한국에서 2021년에 재개봉되었으니, 소식을 들을 때마다 한 번씩 더 보게 되는 영화다.  영화 '바그다드 카페'는 여러 철학적 주제를 탐구할 수 있는데 각 등장 인물들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토론할 만한 여지가 있다. 영화 속 주인.. 2024. 10. 31.
그리스 로마 신화 속 신들에 대한 요약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리스, 로마 신화는 카오스(혼돈)에서 코스모스(질서)로 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카오스는 원래 '빈 공간'을 의미하며, 후에 '혼돈'의 뜻으로 확장되었다.  1. 최초의 신들:1) 가이아(대지의 여신):가이아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매우 중요하고 강력한 존재로, 대지의 여신으로 주요 특징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a) 가이아의 본질가이아는 단순한 신이 아닌 우주와 존재의 근원으로 여겨진다. 그녀는 세계(우주)의 탄생과 동시에 존재했으며, 세계 그 자체를 상징하며, 모든 생명의 근원이자 자연 만물의 창조자이며 지구의 영혼을 상징하는 영적 구현체이며 모성의 화신이다.b) 가이아의 능력과 영향력* 창조와 생명의 힘: 새로운 존재를 생성하고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 생식, 창조, 생명의 ..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