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43 자크 라캉 이야기의 시작 [100-85]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자크 라캉의 소유할 수 없는 편지 (김서영 씀) “《에크리》를 열면 제일 처음에 에 대한 세미나>가 나와요. 라캉은 서문에서 이것이 자신의 책 전체를 요약한다는 가장 중심적인 글이므로 연대순에 어긋나지만 맨 처음에 넣었고, 따라서 이 글을 읽음으로써 독자가 자신의 스타일 속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세미나>는 《에크리》의 내용이 고스란히 집약되어 있는 마술 같은 글이랍니다.” 나의 문장)이제 롤랑 바르트와의 짧은 산책을 마치고 기다리고 있는 자크 라캉과의 산책에 나섰다. 먼저 그의 생애와 그의 저작에 대한 짧은 개관을 해보자. 자크 라캉(Jacques Lacan, 1901~1981)은 1901년 프랑스 파리.. 2024. 12. 30. 작별하지않는다/한강/문학동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 4.3사건과 한국전쟁 시기의 국가폭력을 다루며, 역사적 비극과 그 희생자들에 대한 깊은 애도를 담고 있다. 이 소설은 현실과 꿈이 교차하는 몽환적이고 시적인 산문으로, 역사적 대참사의 고통과 상처를 기억하고 애도하는 서사를 펼친다. 나는 소설 속 두 인물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다. 인선에게안녕하세요, 인선님?당신이 견뎌온 날들, 그리고 살아내고자 했던 시간들을 떠올리며 이렇게 편지를 씁니다. 저는 당신의 이야기를 읽으며 숨죽여 당신을 바라봤습니다. 당신이 지나온 길 위에는 고통과 상처, 부재의 무게가 짙게 깔려 있었지만, 그 속에서도 당신은 스스로를 잃지 않고, 오히려 당당하고 묵묵하게 자신의 삶, 목표를 향해 살아갔더군요. 세대를 연결하는 그리움과 기억은 당.. 2024. 12. 29. 롤랑 바르트와 어머니의 죽음 [100-84]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김진영 씀) “라는 소논문에서 바르트가 그 시기까지 스스로 추적하는 자신의 지적 경력은 이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이후의 작업들을 포함시킬 때 우리는 바르트의 지적 경력 안에는 앞의 세 단계들에 이어서 두 단계가 더 발견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합니다. 더구나 이 두 단계는 앞의 세 단계와는 뚜렷이 변별되지 않으면 안 되는 고유의 성격을 지닙니다. 앞의 세 단계와 뒤의 두 단계의 관계를 연속적이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만드는 것은 다름 아닌 바르트가 말년에 겪게 되는 치명적인 사건, 즉 어머니 앙리에트 벵제의 죽음입니다.” 나의 문장) 롤랑 바르트의 어머니 앙리에트 벵제의 죽음은 그의 지적 경력에 .. 2024. 12. 29. 롤랑 바르트의 ‘에고이스트의 단계’ [100-83]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김진영 씀) “마지막 단계는 ‘기호와의 유희 시기’입니다. 어쩌면 자유 사상가로서의 바르트의 글쓰기 스타일이 가장 독특하게 드러나고 있는 이 시기를 바르트는 ‘에고이스트의 단계’라고 명명하고 있습니다.” 나의 문장)오늘 언급할 롤랑 바르트의 '에고이스트의 단계'는 그의 지적 여정에서 세 번째이자 마지막 단계를 의미한다. 이 단계는 '기호와의 유희 시기'로도 불리며, 바르트의 독특한 글쓰기 스타일이 가장 잘 드러나는 시기로, 이 시기의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기호의 제국』, 『사랑의 단상』, 『롤랑 바르트가 쓴 롤랑 바르트』, 『텍스트의 즐거움』 등이 있다. 롤랑 바르트는 기존의 학문적 글쓰기와는 완전.. 2024. 12. 28. 롤랑 바르트의 ‘기호 시스템에의 도취 시기’ [100-82]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김진영 씀) “두 번째 단계는 ‘기호 시스템에의 도취 시기’입니다. 테러리스트의 시기가 신화를 구축하는 코드 체제를 폭파하려는 때였다면 이 두 번째 단계는 역설적으로 코드 체제에 스스로 도취되는 작업이 수행됐던 시기입니다. 말하자면 기호 체제가 더 이상 비판적 대상이 아니라 즐거움의 대상으로 전환된다고나 할까요. 바르트는 예컨대 ‘분류의 즐거움’에 대해서 말합니다. 하나의 완벽한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세밀하고도 조직적인 분류 작업은 이론가에게 특별한 즐거움과 쾌락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죠. 때문에 자신은 더 이상 코드 체제에 대한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비판 작업을 그만두고, 일상 문호의 코드 .. 2024. 12. 27. 롤랑 바르트의 테러리스트의 시기 [100-81]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김진영 씀) “바르트는 라는 짧은 논문에서 스스로 자신이 걸어 온 지적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 그 첫 단계를 바르트는 ‘테러리스트의 시기’였다고 명명합니다. 바르트가 소쉬르의 기호론을 언어소통의 범주로부터 프랑스 소시민의 일상문화 전반의 영역으로 확대시켜 그 신화성을 드러내려고 했던 비평의 시기이지요.” 나의 문장)롤랑 바르트(1915~1980 는 자신의 지적 여정을 세 단계로 나누었고, 그 첫 번째 단계를 '테러리스트의 시기'라고 불렀다. 소쉬르의 기호론을 확장하던 시기이다. 우선 바르트의 이론에 들어가기 전,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로 불리며,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 같은.. 2024. 12. 26.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