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41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100-78] 4기 김은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기호의 모험가, 롤랑 바르트 (김진영 씀) “바르트적 사유의 특별함이 있다면, 그 특별함은 다름 아닌 삶과 이론, 즉 사적인 삶과 공적인 삶의 변별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데 있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바르트에게 지적 이론이란 삶의 영역과 구분될 수 없는 특성, 구체적인 삶의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또 거기로 돌아가는 육체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의 문장)이제 블랑쇼와의 산책 끝에 롤랑 바르트가 기다리고 있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는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 문학 이론가, 비평가, 그리고 기호학자로, 20세기 문학 이론과 기호학으로 유명하다. 19.. 2024. 12. 23.
모리스 블랑쇼의 역동적 중성 운동이 삶에 개입되면? [100-77]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과 글쓰기, 역동적 파노라마 (김성하 지음) “블랑쇼를 읽으며 철학적 개념이나 사유의 주제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 못지않게, 이런 개입의 열려 있는 가능성과 발생 가능성을 생각해 보는 것 또한 유익한 일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역동적 중성 운동이 삶에 개입하게 된다면 지금 이 순간의 삶이 어제의 삶과 어떤 다른 모습으로 변할지 상상해보는 것 자체가 이미 의미 있는 일이 아닐까요?” 나의 문장)이제 본 책의 모리스 블랑쇼와 이별의 시간이 다가왔는데 작가는 위의 질문으로 마지막을 장식한다. 그의 질문 “모리스 블랑쇼의 역동적 중성 운동이 삶에 개입하면, 이 순간의 삶이 어제의 삶과 어떻게 다른 모습으로 변할지.. 2024. 12. 22.
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을 현대 사회에 적용하기 [100-76] 4기 김은 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을 현대 사회에 적용하기>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과 글쓰기, 역동적 파노라마 (김성하 지음) “블랑쇼를 읽으면 읽을수록 더욱 난해하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는 것은 그의 글이 어렵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또한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아서도, 그의 철학적 사유가 미숙해서도 아니지요. 그의 글과 사유가 답을 찾기보다는 사유와 삶, 삶과 글, 글과 사유의 경계를 허물고, 물음에 물음을 던지며 끊임없이 생각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나의 문장)지금까지 모리스 블랑쇼와 짧은 산책을 통해 개략적인 그의 철학적 사유를 따라왔는데 그의 철학적 사유를 어떻게 현대 사회에 적용할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 보자. 블.. 2024. 12. 21.
모리스 블랑쇼의 작가와 글쓰기 [100-75]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과 글쓰기, 역동적 파노라마 (김성하 지음) “블랑쇼는 작품이 사전에 잘 준비된 하나의 내적인 계획 그 자체라고 한다면, 작가는 작품을 글과 단어로 옮기지 않아도 이미 작가 자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으며, 즉 작품을 통해 찾고자 하는 답을 자신이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굳이 글을 쓰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글을 쓰겠다는 욕망도 없다는 것이지요. 결국 작가는 글을 쓰지 않으며, 따라서 그는 작가가 아닌 것입니다. 하지만 작가 내면에 이미 완성되어 있는 작품이 바깥에 그대로 투사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 내면에 있는 그 무언가가 작품으로 실현되는 것이 라고 가정한다면, 다시 말해 시공간을 통하여 작가 내면의 그 무언가.. 2024. 12. 20.
모리스 블랑쇼의 존재론적 시간 [100-74] 4기 김은 모리스 블랑쇼의 존재론적 시간>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과 글쓰기, 역동적 파노라마 (김성하 지음) “블랑쇼가 말하는 ‘밤’은 헤겔이 바라보는 ‘밤’과는 다른 ‘밤’입니다. 낮과 밤의 대립 관계는 더 상 없습니다. 헤겔의 논리에 직선적이고 발전적인 시간 개념이 깔려 있다면, 블랑쇼에게는 이러한 시간의 흐름이 단절되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이 어떻게 될절될 수 있을까요? 시계 바늘을 맘시 멈추면 되는 단순한 일이 아닙니다. 브랑쇼가 말하는 단절은 이러한 물리적인 의미의 단절이 아니라, 헤겔과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기를 시도하는 읨에서의 단절입니다. 즉 헤겔과 달리 낮과 밤이 직선적이고 발전적인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이 아.. 2024. 12. 19.
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적 교류 [100-73]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모리스 블랑쇼의 중성과 글쓰기, 역동적 파노라마 (김성하 지음) “이러한 다양한 사상적 교류를 바탕으로 블랑쇼는 인간이 삶에서 만나는 사유의 주제들을 마치 과학자가 실험과 분석의 대상으로 객관화하는 것처럼 자신의 삶으로부터 분리시켜 분석과 관찰의 대상으로 일반화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의식과 반성에 의해 구성되고 추상화되는 철학을 거부했고 또 개념을 거부했던 것입니다.” 나의 문장)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은 다양한 철학자와 작가와의 사상적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이 교류는 그의 철학적 아이디어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 블랑쇼가 레비나스, 후설, 하이데거, 바타유 등과의 교류의 과정과 의의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레비나스.. 2024.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