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43 에티엔 발리바르와 이데올로기적 반역: 이상을 현실로 만드는 집단적 실천의 가능성 [100-96] 4기 김은 에티엔 발리바르와 이데올로기적 반역: 이상을 현실로 만드는 집단적 실천의 가능성>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반역. 최 원 씀 “발리바르는 그러나 어떤 정세 속에서 적대(곧 실재로서의 적대)가 가시적이 될 때, 이러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보편성은 깨져 버리게 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 때 피지배자들은 이 이데올로기적 보편성의 바깥으로 탈출함으로써 싸우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보편성을 귿르이 서 있는 바로 그 자리에서 당장 실현하려고 집단적으로 시도하게 되는데, 이게 바로 이데올로기적 반역이라고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적대라는 실재가 무대 위로 난입해 들어오게 될 때, 어떤 내적 거리가 가시적이 될 때, 피지배자들은 이데올로기 안.. 2025. 1. 10. 세태 유감 – 인간의 잔혹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세태 유감 – 인간의 잔혹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나는 요즈음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를 연이어 읽으며 인간의 잔혹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에 대해 사유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한나 아렌트가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을 관찰하고 분석하면서 제기한 사유였던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 개념이었다. 이 개념은 아렌트가 1961년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열린 나치 전범 아이히만의 재판을 취재한 뒤, 이를 바탕으로 집필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Eichmann in Jerusalem)』 (김선옥 옮김, 한길사)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아이히만은 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Schutzstaffel, SS) 대령으로, 유대인 학살 .. 2025. 1. 9. 알튀세르의 저항과 반역 [100-95]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반역. 최 원 씀 “그렇다면 이제 알튀세르에게 있어서 저항이나 반역은 어떻게 생각할 수 있을까요? 그건 바로 이 중심에 놓여 있고 자기 안에 갇혀 있는 이데올로기의 동심원적 구조를 탈중심회시키고 그 중심에 대신 이 실재를 가져다 놓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절대적 의무, 이데올로기의 타자로서의 실재의 침입을 무대 위에 조직하는 것이 바로 저항과 반역의 시작이지요.” 나의 문장)알튀세르에게 저항과 반역은 이데올로기의 중심적 틀을 해체하고 새로운 중심을 세우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그는 이데올로기를 동심원적 구조로 이해하며, 이 중심은 특정한 가치와 규범을 기준으로 개인과 사회를 조직.. 2025. 1. 9. 욕망과 구조: 라캉과 알튀세르의 실재 비교 [100-94]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반역. 최 원 씀 “라캉의 실재와 달리 알튀세르의 실재는 잃어버린 기표가 아니라 복잡한 사회적 전체이자 계급투쟁의 구조이기 때문에 라캉의 도식과 알튀세르의 도식은 큰 차이를 보입니다. 라캉의 도식은 비록 그것이 외부적 실재를 상정하고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원환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체와 주체가 상실한 어떤 대상 사이에서 쫓고 쫓기는 원환의 운동이 전부입니다. 그러나 알튀세르는 이 원환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가 그 외부에 또 있다고 봅니다.” 나의 문장)라캉의 실재는 "잃어버린 기표"로, 언어나 상징으로 온전히 설명할 수 없는 세계의 일부를 의미한다. 이는 주체가 결핍을 느끼며 끊임없이 추구하지만 결.. 2025. 1. 8.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100-93]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반역. 최 원 씀 “개인이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들과 마주침으로써 어떤 동일성을 부여받으면, 이 동일성을 과거를 향해서 투영함으로써 이 주체는 마치 자기가 언제난 이 동일한 주체로서 살아온 것처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때문에 자신이 영원한 주체라고 착각하게 되는 것이지요.” 나의 문장)이데올로기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사회적 역할 수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으로, 개인은 학교, 가족, 직장 등 다양한 사회적 기관을 통해 특정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는 학생으로서, 가정에서는 자녀로서, 직장에서는 직원으로서 자신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정체성은 현재 부여받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2025. 1. 7. 이데올로기의 영향력과 이에 저항할 가능성 [100-92] 4기 김은 [원 문장] 『처음 읽는 프랑스 현대 철학』중 루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와 반역. 최 원 씀 “알튀세르의 호명 테제는 상당한 논란을 불러왔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사람들은 쉽게 알튀세르 이전의 주체의 자율성 테제로 돌아갈 수도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이데올로기가 갖는 광범위한 영향력을 도저히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논란에 대해 라캉의 논의를 끌어들여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했던 사람이 바로 슬라보예 지젝입니다.” 나의 문장)위 문장은 알튀세르의 "호명 테제"가 철학계에서 중요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음을 설명한다. 알튀세르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이데올로기를 통해 주체로 구성되며, 이는 개인의 자유 의지가 사회적 영향 아래 제한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 주장.. 2025. 1. 6.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