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잠깐! 현상학이란?

by thetraveleroftheuniverse 2024. 12. 7.

 

 

 

 

<잠깐! 현상학이란?>

 

서양 철학사에서 현상학은 에드문트 후설(1859년~1938년)에 의해 창시된 철학으로, 경험과 의식의 구조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는 이론이다. 후설은 심리주의와 역사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실증주의와 결별하고,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해 인간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했다. 그의 사상은 베른하르트 볼차노(1781년~1848년)와 프란츠 브렌타노(1838년~1917년)의 영향을 받았는데, 브렌타노는 의식의 '지향성'을 강조하여 의식이 대상을 지향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후설 이후, 그의 제자들 중 일부는 후설의 현상학적 접근을 계승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마르틴 하이데거(1889년~1976년)는 후설의 사유를 '현상학적 환원'의 방향에서 취하여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며 실존철학을 창립했다. 그는 존재론적 질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철학적 접근을 제시했다. 한편, 막스 셸러(Max Scheler, 1874년~1928년)와 니콜라이 하르트만(Nicolai Hartmann, 1882년~1950년)은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 방법을 사회, 문화, 종교의 영역에 적용하여 인간 경험의 본질을 연구했다. 이들은 후설의 현상학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분야에서 독립적인 사상을 발전시켰다.

현상학은 이후에도 다양한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장-폴 사르트르와 모리스 메를로-퐁티와 같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후설과 하이데거의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철학적 체계를 구축했다. 이처럼 현상학은 현대 철학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인간 경험과 존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상학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향성은 에드문트 후설이 주창한 핵심 개념으로, 의식이 항상 무엇인가를 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인간이 단순히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특정한 대상을 바라보고 느끼며 경험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둘째, 사태 자체(Sachen selbst)는 현상학이 사태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우리가 사전에 가진 개념이나 틀을 배제하고 경험하는 현상 그 자체로 돌아가야 한다는 의미이다. 하이데거는 이를 통해 존재론적 성찰을 제안했다.

셋째, 현상학적 환원은 후설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판단 중지' 또는 '유보'의 과정을 통해 당연시하던 모든 태도나 세계관을 괄호 속에 넣고 순수한 의식 상태에서 현상을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한 방법적 조치이다.

넷째, 본질 직관은 현상학이 우리가 경험하는 대상을 단순한 감각적 경험을 넘어 본질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노력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인간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다섯째, 체험 관계는 주관적인 경험과 객관적인 현상 간의 관계를 탐구하며, 개인의 체험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분석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몸과 환경의 상호작용은 메를로-퐁티가 주장한 개념으로, 인간의 경험이 신체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현대 철학에서 중요한 논제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개념들은 현상학이 인간 경험과 존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추구하는 철학적 전통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학은 20세기 이후 철학과 다양한 학문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는데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현상학적 접근은 심리학과 인지과학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했다. 하이데거와 사르트르 같은 철학자들은 현상학을 바탕으로 실존주의를 발전시켰고, 가다머는 이를 해석학에 적용하여 텍스트 이해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현상학적 방법론이 질적 연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인공지능과 인지과학 분야에서도 의식과 인지 모델 개발에 기여했으며 셸러와 같은 철학자들은 현상학을 윤리학과 가치론에 적용하여 도덕적 판단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했다. 이처럼 현상학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아우르는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인간 경험과 의식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

 

그러면 21세기를 사는 우리는 현상학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 수 있을까?

먼저,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중심에 두고 개인의 경험과 관점을 존중하며, 다양한 문화와 환경에서 나타나는 인간 경험의 차이를 이해하려 노력해야 하고, 후설의 '판단 중지' 개념을 실천하여 기존의 편견을 배제하고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태도를 기르는 것도 중요하겠다. 더불어 메를로-퐁티가 강조한 신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을 인식하여 우리 삶에서 이들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현상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와 인간 중심 접근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반영한 정책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겠으며 또한, 하이데거와 사르트르가 제안한 실존적 질문들을 현대 사회에서 재조명하여 더 깊은 자기 이해와 존재론적 성찰을, 마지막으로, 인공지능과 기술 개발에 현상학적 접근을 적용하여 인간 중심 설계를 실현하고 기술이 인간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겠다. 이처럼 현상학은 21세기에도 인간 경험과 의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철학적 전통이겠다.

 

에드문트 후설

 

 

마르틴 하이데거

 

장 폴 사르트르

 

 

메를로- 퐁트

 

 

 

 

#현상학

#에드문트후설

#마르틴하이데거

#장폴사르트르

#메를로퐁티

#실존주의

#국립군산대학교

#군산대철학과

#lettersfromatrave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