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200-159] <힘에의 의지와 영원회귀 1>

by thetraveleroftheuniverse 2025. 3. 15.

 

 

 

[200-159] <힘에의 의지와 영원회귀>

 

[원 문장] 처음 읽는 독일 현대 철학중 프리드리히 니체가 제시한 미래철학의 서곡, 관계론 백승영 씀

 

힘에의 의지의 관계론의 또 다른 특징은 힘 싸움의 양식에서 확인됩니다. 힘 상승과 지배를 원하는 힘 싸움에서는 힘의 정도에 따른 질서가 형성됩니다. 이기고 지는 의지들이 지뱋고 지배 당하는 의지들이 있는 것이죠. 하지만 거기서의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는 일시적입니다. 힘의 질서가 결정되는 그 순간 힘에의 의지들은 다시 힘 상승과 지배를 추구합니다. 그것은 힘에의 의지의 또 다른 운동법칙인 힘 소비의 극대경제힘에의 의지의 자신의 본성으로의 영원회귀덕분입니다.”

 

나의 문장)

힘에의 의지의 자신의 본성으로의 영원회귀는 니체 철학에서 역동적 생성과 자기 초극의 영원한 순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힘에의 의지가 끊임없이 자신의 본성을 따라 더 큰 힘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돌파한 후에도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귀하여 새로운 도전을 반복하는 운동법칙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적 과정은 세계가 고정된 구조가 아닌 끊임없는 변화와 생성의 상태로 존재함을 나타내며, 모든 현상이 영원히 반복되는 생성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단순한 물리적 순환이 아니라 삶 자체에 대한 철학적 긍정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영원회귀 사상은 현재의 순간이 무한히 반복될 것이라는 전제 아래 각 순간을 최대한 의미 있게 살아야 함을 요구하며, 이를 통해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삶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실천적 태도를 이끌어낸다. 또한 힘에의 의지들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지배와 피지배의 구조가 고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재편되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권력 관계의 유동성과 역동성을 설명하는 근간이 되는 것이다.

 

이 개념은 니체 철학의 방법론적 일원론을 구현하는 동시에, 인간으로 하여금 끊임없는 자기 초월을 통해 창조적 삶을 영위하도록 촉구하는 철학적 도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세계는 힘에의 의지들의 투쟁과 협력으로 이루어진 역동적 장()이며, 이러한 과정이 영원히 반복됨으로써 비로소 삶의 진정한 가치와 의미가 생성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은 일상의 반복적 순간들을 철학적 성찰의 대상으로 전환시킨다. 이 개념은 단순한 시간의 순환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이 영원히 반복된다면이라는 질문을 통해 일상성에 근본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영원회귀는 과거의 후회나 미래의 불안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며, 일상적 경험을 깊은 감각적 체험으로 변모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개념은 사소한 일상적 결정에도 철학적 무게를 실어주며, 결정 시 "이 선택을 무한히 반복할 수 있는가?"라는 기준을 적용하게 만든다. 니체가 말한 "너 자신의 적과 싸워라"는 조언은 이런 맥락에서 사소한 습관 개선도 영원회귀적 관점에서 자기극복으로 재해석되는 것이다. 영원회귀는 반복되는 일상의 스트레스를 단순한 고통이 아니라 성찰과 성장의 기회로 재구성하며, 니체의 "나를 죽이지 않는 고통은 나를 강하게 만든다"는 말은 이를 잘 표현한다. 니체 철학에 따르면 반복되는 일상적 행위는 힘에의 의지의 미시적 발현이며, 영원회귀는 이러한 사소한 행위들이 모여 삶 전체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모든 일상적 순간을 창조적 예술 행위로 승화시키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아침 질문법, 선택 필터링, 고통 재해석 일지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결국 영원회귀는 일상성을 의미 생성의 무한 공장으로 변모시키는 개념이다. 니체가 말한 "삶을 사랑하라"는 명제는 단순한 낙관주의가 아니라, 모든 순간을 의식적 선택으로 채워나가는 적극적 삶의 태도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허무주의에 빠지기 쉬운 현대인에게 일상적 행위 자체가 곧 철학적 실천임을 일깨워주는 것이다. ()

 

 

250315

 

 

 

 

 

 

#이백일이백문장 #나의프로젝트 #처음읽는독일현대철학 #동녁 백승영씀 #니체 #힘에의_의지 #자기극복 #영원회귀 #권력의지 #자기통제 #성장의지 #위버멘쉬 #초짜철학도 #국립군산대학교 #군산대철학과 #lettersfromatrave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