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93

[200-155] <니체 철학의 관계론> [200-155] 니체 철학의 관계론>  [원 문장] 『처음 읽는 독일 현대 철학』 중 프리드리히 니체가 제시한 미래철학의 서곡, 관계론 백승영 씀 “관계론은 독립적 개체성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상대주의라는 다원성의 아포리아를 해소하는 다원주의를 제공하고, 부분과 전체에 대한 우선순위 없는 공속관계를 보여주면서 전체주의적 위험이 사라진 부분과 전체 모델을 제시하는 아주 흥미로운 사유입니다. 그런데 이 보다 더 흥미로운 점은 그것이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인정’과 ‘긍정’을 실천적 파토스로 요청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생성적 세계와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 긍정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확보하려는 니체 철학의 과제 수행에 이 관계론 모델은 토대이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나의 문장]인용문은.. 2025. 3. 11.
[200-153] <봄, 창조의 계절에 니체를 생각하다> [200-153]  [원 문장] 『처음 읽는 독일 현대 철학』 중 프리드리히 니체가 제시한 미래철학의 서곡, 관계론 백승영 씀 “19세기 말, 니체는 자신의 철학을 ‘새로운 철학’의 ‘시작’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의 진단은 적중했지요. 니체 철학이 갖고 있던 독보적 미래성은 곧 오늘날의 현대성이 됐기 때문입니다. 그가 《선악의 저편》에 달아주었던 부제 ‘미래철학의 서곡’은 《선악의 저편》을 넘어서 그의 철학 전체의 성격을 규정합니다. 니체가 제시했던 탈형이상학적 전회, 본질주의와의 결별, 중심주의 무델 및 절대주의 모델의 파기, 다원주의 모델을 통한 일원론 극복 프로그램, 그리고 실체론으로부터 관계론으로의 전환 등은 철학의 제 영역에서 발생한 현대적 지각변동의 단초이자 토대가 됐습니다.” 나의 말) 프.. 2025. 3. 9.
[200-152] <인간의 자기 파괴적 충동> [200-152]  [원 문장] 『처음 읽는 독일 현대 철학』 중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무의식 혁명, 김석 씀 “타나토스를 끝까지 물고 늘어진 사람은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1882~1960)과 라캉입니다. 그 지점에서 이제 정신분석 목표나 치료의 방향이 달라집니다. 나중에 라캉에 이르면 치료가 불가능하고 정신 분석의 최종 목표는 치료를 넘어선다는 식으로 이론이 발전하는데, 타나토스가 그 출발점이죠. 타나토스 이론을 강조하다보면 더 이상 현실 적응이나 자아 강화가 아니라, 어떤 헤아릴 수 없고 설명 불가능한 인간의 근원적인 충동에 대해서 그 자체로 드러내주는 것이 정신분석의 목표여야 한다는 결론까지 나옵니다.” 나의 문장) 위 문장에서 언급된 내용은 정신분석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타나토.. 2025. 3. 8.
데이비드 찰머스: 의식의 어려운 문제와 철학적 탐구 데이비드 찰머스: 의식의 어려운 문제와 철학적 탐구  데이비드 찰머스(David Chalmers, 1966~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철학자로, 인간의 마음과 의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연구하는 데 평생을 바친 인물이다. 어린 시절부터 수학과 과학을 좋아했지만, 인간의 사고 과정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철학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는 특히 인간의 의식을 단순한 뇌의 작용으로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의식의 어려운 문제(Hard Problem of Consciousness)"를 제기했다. 과학자들은 뇌의 신경 활동을 연구해 사람이 손을 움직이거나 정보를 기억하는 과정과 같은 "쉬운 문제(Easy Problems)"를 설명할 수 있지만, 왜 우리는 빨간색을 보면 '빨강'을 경험하.. 2025. 3. 7.
엘리자베스 밀란 몰리나르: 현대 철학에서 주체성과 사회적 변화를 탐구한 사상 엘리자베스 밀란 몰리나르: 현대 철학에서 주체성과 사회적 변화를 탐구한 사상  엘리자베스 밀란 몰리나르(Elizabeth Millán Molinar, 1981년생)는 멕시코 출신의 현대 철학자이자 사회 이론가이다. 그녀는 사회적 불평등, 특히 성별과 인종 문제를 철학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를 더 공평하게 만드는 방법을 고민한다. 밀란 몰리나르는 "인간 중심의 사고"와 "기존의 사회적 구조"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으며, 특히 여성과 소수자의 목소리를 강조하는 철학적 접근을 한다.그녀의 주요한 사상 중 하나는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밀란 몰리나르는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회의 문제를 바라본다. 예를 들어, 성별, 인종,.. 2025. 3. 7.
[200-151] <현대 철학에서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의 재해석과 그 중요성> [200-151]  [원 문장] 『처음 읽는 독일 현대 철학』 중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무의식 혁명, 김석 씀 “현대철학에서 정신 분석의 의의는 심리적 현실이 흔히 말하는 의식과 사유뿐 아니라 파토스적인 것과 무의식을 통해 더 많이 구성된다는 것을 알려줬다는 것입니다. 이것과 연관해 몸, 욕망, 충동, 성 이런 개념들이 중요하다는 것을 철학에 일깨워줬습니다. 현실은 의식과 무의식의 복합적 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죠. 그중에서도 무의식이 더 결정적이고요. 우리는 무의식을 기초로 인간을 이해하고 의식을 절대화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이 무의식 혁명입다.” 나의 문장) 인용된 문장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이 현대 철학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 철학에서 무의식의 개념은 인간의 심리적 현실을 단순히 의.. 2025.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