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한대의 고문학과 금문학

by thetraveleroftheuniverse 2023. 5. 19.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38

 

 

 

 

(출처: 다음백과사전)

 

 

고문학 Kuwenhsueh, 古文學

 

요약 중국 진대(秦代) 이전에 사용되던 문자인 과두문(蝌蚪文)으로 씌어진 경전을 주로 연구하던 경학(經學).

 

 

금문학(今文學)과는 상대되는 것으로, 실증을 중시하고 체계적인 훈고법을 통해 경전을 연구했다.

 

이아 爾雅설문해자 說文解字가 이러한 연구의 주요성과이다. 시황제의 분서(焚書)로 전한(前漢) 초기의 경서는 모두 당시에 통용되던 예서(隸書), 즉 금문으로 기록되어 있었으나, 전한 중기인 한 무제(武帝) 말기에 이르러 노()의 공왕(恭王)이 공자의 옛 집을 헐다가 그 벽에서 당시에 통용되던 금문이 아닌 고대문자로 씌어진 고문상서 古文尙書·예기·논어·효경등을 발견했다.

 

오늘날에는 설문해자나 위()나라 때 만들어진 정시석경 正始石經등에 의해 그 대체적인 모양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한대에 발견된 몇몇 고문경들이 있는데, 장창(張蒼)춘추좌씨전 春秋左氏傳과 하간(河間)의 헌왕(獻王)이 수집한 고문헌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고문경들은 당시 우세하던 금문경파에 눌려 비부(秘府)에 사장된 채 오랫동안 빛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전한말에 이르러 유흠(劉歆)이 고문학을 따르는 학파의 지도적 위치에 서게 됨에 따라 금문학파·고문학파의 격렬한 논쟁이 전개되었다.

 

·고문학의 논쟁은 단순히 문자가 서로 틀렸기 때문이 아니라 경전의 이해나 해석의 차이 때문에 비롯되었다.

 

고문학파는 공자를 사가(史家)로 보면서 그가 다룬 6(六經)을 모두 역사적 자료로 여겼기 때문에, 각 경전에서 다룬 내용이나 선정의 전후를 따져서 6경의 차례를 주역·서경·시경·예기·악경·춘추로 했다. 이에 비해 금문학파는 공자를 교육자·철학자·정치가로 여기고, 6경을 고대의 사료로 인정하면서도 공자가 이것을 '탁고개제'(託古改制)의 도구로 삼았다고 보아 문장 안의 역사적 사실보다는 미언대의(微言大義)를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고문경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주례 周禮의 주관(周官)편을 중시했으며, 한대 왕망(王莽)의 변법(變法)이나 송대(宋代)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은 모두 주관편을 이론적 근거로 삼은 것이다.

 

한대를 통해 금문학과 고문학은 서로 대립했지만, 후한말에 이르러 정현(鄭玄)이 고문학을 위주로 금문학·고문학을 절충·종합함으로써 이 둘의 대립은 해결되었으며, 학문적 성과에 입각하여 고문학의 우위가 입증되었다.

 

결국 후한시대부터 고문학이 크게 성행하여 경학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6(六朝(()대의 경학도 고문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고문학은 송·명대에 이학(理學)의 발달로 잠시 쇠퇴했지만, 청대(淸代)에 이르러 다시 성행하게 되었으며, 훈고방법이 더욱 치밀하게 되어 고적정리와 언어문자의 연구에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주역·서경·시경등은 금문학·고문학 양파의 교재였지만, 주례춘추좌씨전등은 고문학파에서만 사용했다.

 

춘추좌씨전은 특히 춘추의 전()으로, 금문학파에서 사용하고 있던 춘추공양전 春秋公羊傳의 학()과 첨예하게 대립했다. 개별적인 고문학설로는 후한의 반고(班固)가 찬집한 백호통의 白虎通義, 허신(許愼)오경이의 五經異議, 하휴(何休)공양묵수 公羊墨守등이 알려져 있다.

 

 

금문학 Chinwenhsueh, 今文學

 

요약 한대(漢代)에 통용되던 문자 즉 예서로 씌어진 경전을 주로 연구하던 경학.

 

한대에 이르러 효혜제(孝蕙帝)는 진()나라에서 행해지던 협서의 금법을 해제했고, 효문제(孝文帝) 때에는 정치적인 이유에서 유학을 비롯한 모든 학문을 개방하여 헌서를 장려하기까지 했다. 이에 종래 구전되어 오던 유가의 각종 경전이 당시 통행되던 예서로 옮겨져 조정에 헌상되었다. 이때 헌상된 경서는 당시 통행되던 글자로 씌어졌다고 해서 금문경이라 불렸다. 호무생(胡毋生)과 동중서 이후 유학이념에 입각하여 국가의 중흥을 도모했던 한 무제(武帝)시경 詩經·서경 書經·예경 禮經·춘추 春秋의 금문경을 더욱 후대하여 학관에 14박사를 두었다.

 

고문학이 훈고학적인 실증을 중시한 것에 비해, 금문학은 사설을 중시하고 음양오행설과 참위설 등을 이용해 경전을 연구했다.

 

금문학은 전한(前漢) 때 성행했으나, 전한 중기 이후로 고문학에 눌려 점차 쇠퇴하다가 동진의 원제(元帝) 때는 완전히 없어져 고문학만이 성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청대에 이르러 도광제와 함풍제(咸豊帝) 이후에 춘추공양학을 중심으로 한 금문학이 다시 경학을 주도하게 되었다.

 

처음으로 공양학을 제창한 사람은 장존여(莊存與)이며, 이후 유봉록(劉逢錄공자진(龔自珍위원(魏源왕개운(王闓運캉유웨이[康有爲량치차오[梁啓超담사동 등의 근세 사상가에 의해 공양학이 연구되었다. 그들은 한초 경학의 명물훈고적 경향에서 탈피하여 경서를 기본으로 삼았고 정치적 문제의 해결에 주력했으며, 현실적·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학파의 사상적 경향은 구제강[顧頡剛]이나 후스[胡適]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