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319 다원론자(多元論者) 엠페도클레스(Empedoklcles)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서양고대철학자들: 1. 자신이 신이라는 것을 제자들에게 확인시켜 주기 위해 에트나 산 정상에 있는 분화구에 몸을 던져 사망한 엠페도클레스(Empedoklcles, 기원전 490∼430년경)는 만물이 물, 공기, 불, 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한 그리스 철학자다. 시칠리아 출신인 그는 철학가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웅변가이자 정치가였고, 시인이자 생리학자이기도 했다. 엠페도클레스 이전에 그리스 철학계에서는 신화의 세계에서 이성의 세계로 인간을 끌어 올린 밀레토스 학파의 탈레스의 만물의 근원은 ’물’이라는 이론부터 아낙시만드로스의 ‘아페이론’ 아낙시메네스의 ‘공기’가 만물의 근원이라는 설, 헤라클레이토스의 ‘불’이 만물의 근원이라는 설 .. 2024. 4. 10. 연기(緣起) 란? 불교와 친해지기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인 '연(緣: 인과 연의 통칭으로서의 원인)해서 생겨나 있다' 혹은 '타와의 관계에서 생겨나 있다'는 현상계(現象界)의 존재 형태와 그 법칙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 세상에 있어서의 존재는 반드시 그것이 생겨날 원인(因)과 조건(緣)하에서 연기의 법칙에 따라서 생겨난다는 것을 말한다고 하는 연기의 법칙, 즉 연기법(緣起法)을 원인과 결과의 법칙 또는 줄여서 인과법칙(因果法則) 혹은 인과법(因果法) 또는 인연법(緣法)이라고도 한다는 사전에서 들은 것만을 알고 있었다. 이제 불교를 접하면서 처음으로 불교에서의 진리를 진여(眞如)라고 하며 산스.. 2024. 4. 10. 무량심, 나의 불명(佛名) 나는 지난해부터 학교의 불교 동아리인 “불동이들”의 멤버가 되었다. 지난 겨울엔 고창 선은사에서 템플 스테이를 경험하기도 했고 종종 관음사를 찾아 법문을 들으며 예배도 드린다. 이번 해에는 조계종에서 불명(佛名)까지 받았다. 비록 냉담한 상태이지만 스테파니아라는 세례명을 가졌기에 께름칙한 면도 없지 않았지만 나는 철학으로써의 불교를 알고 싶었고 그것보다 앞서 종교로써의 불교와 우선 친해지고도 싶었다. 나의 불명은 무량심(無量心) 사무량심을 깨닫고 닦아서 일체중생의 바람에 응하라는 불명이다. 사무량심(四無量心)이란 중생에게 헤아릴 수 없는 복을 주는 네 가지 이타(利他)의 마음. 곧 즐거움을 베풀고자 하는 자무량심(慈無量心), 어려움을 덜어 주려는 비무량심(悲無量心), 중생이 행복을 얻는 것을 기뻐하는 희.. 2024. 4. 10. 하워드 가드너 교수의 인간다중지능이론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철학과 2학년 1학기 과목 중 철학 상담의 이론과 실제 라는 과목이 있는데 흥미가 증폭 중이다. 오늘은 미국의 심리학자. 현재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심리학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Howard Earl Gardner 1943 ~)가 EBS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시즌3에 출연한 내용을 공부했다. 인간의 복잡한 정신 능력 인간이 잘할 수 있는 모든 일, 문화, 두뇌, 유전학으로 결정된 것. 이 모든 것을 설명할 이론은 없을까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으로 ‘인간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한다. 강의 마지막 말 “가르칠 가치가 있는 것은 시간을 들일 가치도 있는 것이니까. 시간을 들이면 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고 다양한 지능에 집중할 수 있고 더.. 2024. 4. 10. 사회 정서 학습 3 강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과목: 철학 상담의 이론과 실제 사회 정서 학습 3 강 * 사회 정서 학습이란? (SEL: Social Emotional Leanrning) 청소년이 자기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며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보여주고 긍정적인 대인 관계를 형성하며 책임있는 의사 결정을 내리고 직면하고 있는 어떤 상황에 생산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획득하는 학습법 - 사회 정서 학습의 목적지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들여다보는 것(Insight) - Insight를 통해 새로운 가치 창조로 이어질 수 있다. - 새롭게 알게 되는 나의 강점, 나의 단점 즉, 빨리 드러나는 나의 강점은 많이 인식하나 나의 단점은 외면하거나 방치를 하는 경향.. 2024. 4. 8. 중국의 삼황오제부터 주나라까지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초짜 철학도의 분투기 동양철학(삼황오제로부터 근대까지 동양철학의 흐름을 이해한다.) 1. 중국 문명을 이끈 상징적 인물은 ‘삼황오제(三皇五帝) 삼황: 수인, 복희, 신농 오제: 복희, 신농, 황제, 당요, 우순 이들이 사람들에게 문명과 공동체의 상징인 농경, 문자, 결혼 등에 대해 가르쳤으며 이들 의 전설이 형성될 시기에 고대 중국이 원시적인 공동체에서 점차 농경을 바탕으로 한 정치 공동체로 변하기 시작했다. 2. 전설(신화) 속 입금들 1) 요(堯)임금: 무력에 의한 강압이 아니라 백성을 가족처럼 돌보고 고통을 책임지는 ’도덕 정치의 표상‘이 된다. 하여 이 시대는 도덕이 강조되었던 부족사회로 추정 되여 요임금은 세습을 하지 않고 효성이 지극했던 순(舜)에게 왕위를 .. 2024. 4. 7.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