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에세이

주체와 객체: 나는 누구이고, 세상은 무엇일까?

by thetraveleroftheuniverse 2025. 8. 28.

 

 

 

 

주체와 객체: 나는 누구이고, 세상은 무엇일까?

 

우리는 매일 세상을 구분하면서 살아가요. 아침에 눈을 뜨면 나는 창문 밖을 보고, 책을 읽고, 친구와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때 철학자들은 이렇게 묻습니다.

나는 누구이고, 내가 바라보는 세상은 무엇일까?”

철학에서는 나 자신을 주체(Subject)라고 부르고, 내가 바라보는 대상들을 객체(Object)라고 불러요.

예를 들어, 내가 축구공을 본다고 해봅시다. ‘는 주체이고, 축구공은 객체예요. 내가 책을 읽으면 나는 주체, 책은 객체가 됩니다. 아주 간단하지요?

그런데 철학자들은 여기서 더 깊은 생각을 했습니다.

만약 내가 보지 않으면, 그 공이나 책은 존재하는 걸까?”

세상은 내가 바라볼 때만 존재하는 걸까, 아니면 내가 없어도 그대로 있을까?”

어떤 철학자는 세상은 나와 상관없이 존재한다고 말했어요. 내가 보지 않아도 나무는 숲에서 자라고, 별은 하늘에서 빛난다는 거예요.

다른 철학자는 내가 바라볼 때 세상은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어요. 내가 보지 않는 나무는 내게 아무 의미가 없고, 내가 보아야만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는 거죠.

예를 들어, 내 책상 위에 사과가 있다고 해요. 내가 그 사과를 보거나 먹으면 그것은 분명한 객체예요. 하지만 내가 전혀 보지 못하고 그냥 사라진다면, 나에게는 그 사과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과 같다고도 할 수 있지요.

결국 주체와 객체의 관계는 아주 중요합니다. 주체인 나는 세상을 바라보고, 객체인 세상은 나에게 모습을 드러내요. 둘은 따로 떨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 만나야만 의미가 생깁니다. 철학자들은 이 관계를 탐구하면서 나는 누구인가?”, “세상은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이어 왔습니다.

우리가 이 질문을 던질 때, 단순히 세상을 구분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아요. 그것은 내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또 세상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를 함께 생각하게 합니다. 그래서 주체와 객체는 단순한 철학 용어가 아니라,

나는 누구이며, 내가 보는 세상은 무엇인가?”를 묻는, 우리 모두의 철학적 모험의 시작이랍니다.

 

#Subject #Object #PhilosophyForKids #IamWho #WorldAndMe #PhilosophyAdventure #ThinkTogether #주체 #객체 #철학 #어린이철학 #나는누구인가 #세상은무엇인가 #생각의여행 #철학모험 #철학스타그램 #국립군산대학교 #군산대철학과 #lettersfromatraveler

 

 

Subject and Object: Who am I, and what is the world?

 

We live every day by distinguishing between “me” and the “world.” When I open my eyes in the morning, I look out the window, read books, and talk with friends. At these moments, philosophers ask:

“Who am I, and what is the world I see?”

In philosophy, the self is called the subject, and the things I look at are called objects. For example, when I watch a soccer ball, “I” am the subject, and the soccer ball is the object. When I read a book, I am the subject and the book is the object. Sounds simple, right?

But philosophers thought more deeply:

“If I don’t see it, does the ball or the book still exist?”

“Does the world exist only when I look at it, or is it there as it is, without me?”

Some philosophers said: “The world exists regardless of me.” Even if I don’t look at it, trees still grow in the forest, and stars shine in the sky.

Others said: “The world has meaning only when I look at it.” The tree I never see means nothing to me; only the tree I encounter can truly exist for me.

For example, let’s imagine there is an apple on my desk. If I see it or eat it, it clearly exists as an object. But if I never notice it and it disappears, then, from my perspective, it is as if it never existed at all.

In the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s crucial. As a subject, I look at the world, and the world of objects reveals itself to me. They are not separate, but exist only in meeting each other.

That is why philosophers have always asked the fundamental questions:

“Who am I?”

“How does the world exist?”

When we ask these questions, we go beyond simply distinguishing “me” and “the world.” We begin to wonder how I look at the world and what the world gives back to me.

So “subject” and “object” are not just technical philosophical terms. They are the starting point of our own philosophical adventurean adventure that begins with the question:

“Who am I, and what is the world I s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