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200-135] <칼 맑스의 생애와 사상 개관>

by thetraveleroftheuniverse 2025. 2. 17.

 

 

 

[200-135] <칼 맑스의 생애와 사상 개관>

 

[원 문장] 처음 읽는 독일 현대 철학중 노동의 존재론과 칼 맑스의 혁명 사상, 조정환 씀

 

칼 맑스라는 이름에서 여러분들은 어떤 이미지를 떠울리는지요?”

 

나의 문장)

이제 독일 현대 철학자들과의 만남이 이어질 것이다. 그 첫 산책자로 칼 맑스이다.

 

칼 맑스는 181855, 독일의 트리어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법률가였고, 어머니는 가정주부였다. 맑스는 어린 시절부터 지적 호기심이 매우 강했다. 특히 글을 읽고 배우는 것을 좋아했으며, 학교에서 성적도 뛰어났다. 그가 자란 당시, 독일은 큰 정치적 변화와 사회적 불평등을 겪고 있던 시기였다. 그런 상황은 그가 철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학문과 철학의 시작 맑스는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지만, 점차 법보다는 철학에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본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철학자들, 특히 독일의 유명한 철학자인 헤겔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헤겔은 "이성"을 통해 역사와 사회가 발전한다고 주장했는데, 맑스는 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다. 그는 헤겔의 철학을 바탕으로 현실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젊은 시절과 초기 사상 맑스는 대학을 졸업한 후, '라인 제비르'라는 신문에서 기자로 일하게 된다. 여기서 그는 당시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글을 썼다. 특히 그는 부유한 상류층과 가난한 노동자들 사이의 차이를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려는 방법을 모색했다. 그러나 신문사는 맑스의 글들이 너무 급진적이라며 그를 해고하게 되었다.

 

그 후, 맑스는 '공산당 선언'을 공동 집필한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만났고, 두 사람은 친구이자 사상적 동지가 되었다. 엥겔스는 맑스에게 산업 혁명 당시의 노동자들의 고통을 직접 보여주며, 그들이 처한 상황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 시기, 맑스는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구조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자본주의 비판과 경제학 연구 맑스는 자본주의가 노동자들을 착취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람들이 자신이 만든 것에서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오히려 큰 자본가들이 모든 이익을 챙기는 구조를 비판했다. 그는 이를 "잉여가치"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예를 들어, 노동자가 하루 종일 열심히 일을 해서 어떤 제품을 만들지만, 그 제품이 팔리면서 생기는 이익은 전부 자본가에게 돌아간다는 것이다.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을 제공하지만 그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한다고 맑스는 말하였다.

 

맑스는 이 생각을 자본론이라는 책을 통해 자세히 설명했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작동 원리와 그 안에서 발생하는 불평등을 설명하며,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로 가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자본주의가 결국 자본가들만 이득을 보며, 노동자들은 점점 더 가난해진다고 예측했다.

 

말년과 유산 맑스는 1849, 여러 번의 정치적 난관을 겪고 나서 런던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는 말년까지 자본론을 쓰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지만, 그가 살던 시기에는 그의 아이디어가 널리 퍼지지 않았다. 사실, 당시에는 그가 제시한 아이디어들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그의 사상은 러시아 혁명과 같은 큰 사건들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맑스는 1883년에 6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상은 이후 20세기 많은 나라에서 사회주의 혁명과 공산주의 국가들이 생겨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맑스의 사상은 단순히 경제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 구조와 권력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그는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라고 말하며, 사회 변화가 일어나는 원동력은 결국 사회 내에서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그가 제시한 공산주의 사회는 불평등과 착취가 없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자원을 나누는 사회였다.

 

이처럼 칼 맑스는 철학자이자 경제학자로서,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을 강하게 비판하며 새로운 사회 구조를 제안했다. 그의 사상은 단순히 이론에 그치지 않고, 20세기 정치와 사회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맑스는 철학과 경제학을 통해 우리가 사는 사회를 이해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시한 인물이다.

 

난 지금까지 맑스에 대한 많은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아마 이념 교육의 저변에서 나도 모르게 습득된 편견에 의한 것이겠다. 이제 막 맑스와 산책하며 그의 사상을 조금이나마 개관해 보겠다. 그의 사상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마르크스의 이론이 현대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면서, 그의 사상이 경제 불평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를 알아보겠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에 대한 내 잘못된 관념을 바꾸고, 그의 사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를 바라게 된다. 또한, 마르크스의 사상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의 이론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더 명확히 알 수 있기를 기대한다. ()

 

 

20240217

 

 

 

 

 

 

#이백일이백문장 #나의프로젝트 #처음읽는독일현대철학 #동녁 #조정환씀 #칼맑스 #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비판 #공산당선언 #자본론 #계급투쟁 #사회주의 #공산주의 #경제불평등 #잉여가치 #프리드리히엥겔스 #헤겔철학 #사회변화 #역사적계급투쟁 #초짜철학도 #국립군산대학교 #군산대철학과 #lettersfromatrave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