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41
이렇게 맛난 아침을 먹고 산책을 하고
또 다시 공부
즐거운 논리 이야기 10주, 11주 차 요약본
좋은 논증의 첫 번째 조건
1) 전제의 수용 가능성
- 우리 자신의 경험
- 선험적으로 참인 진술들
- 상식
- 증언
- 전문가의 의견
2) 승인 불가능성의 오류
a) 오류(나쁜 논증)
- 바르지 못한 논리적 과정 및 그로 인해 생긴 추리나 판단
- 잘못된 논증
- 좋은 논증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논증
- 주로 실수나 부주의, 잘못된 지식에 의해 발생
b) 부적합한 권위에의 호소
c)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
결론에서 증명하려는 주장이 이미 참임을 전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세 가지 형태로 세분
- 핵심이 되는 전제가 참임이 확실하지 않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우
- 결론의 내용을 전제에서 단어들을 바꾸어 미리 보여주는 경우
- 전제가 결론을 지지하지만, 그 전제는 다시 결론의 지지를 받게 되는 순환논증의 형태를 띠는 경우
d) 흑백 사고의 오류
2. 좋은 논증의 두 번째 조건
1) 전제의 결론과의 관련성
- 유관련성: 전제는 결론과 관련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전제가 결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전제가 결론을 조금이라도 지지해야 한다. 만일
전제가 결론과 관련이 없으면 전제는 결론의 참 뿐만 아니라 거짓도 보여주지 못함
2) 전제의 결론과의 관련성 테스트 방법
- 결론이 무엇인지 정확히 하고, 전제와 결론이 정말로 관련성이 있는지 따져볼 것
- 전제의 참이 결론이 참이 될 가능성을 높여 주는가? 전제의 거짓이 결론이 거짓이
될 가능성을 더 높여 주는가?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북송오자(北宋五子)와 성리학적 본체론 및 인성론의 전개 (0) | 2023.05.29 |
---|---|
* 새로운 지식인층과 북송 신유학 (0) | 2023.05.28 |
서양음악사 산책 모던시대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40 (0) | 2023.05.26 |
낭만주의 시대 - 서양 음악사 산책 (0) | 2023.05.20 |
한대의 고문학과 금문학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