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즐거운 논리이야기 10주, 11주 요약본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41

by thetraveleroftheuniverse 2023. 5. 27.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41

 

 

 

 

이렇게 맛난 아침을 먹고 산책을 하고
또 다시 공부

 

 

 

 

 

 

즐거운 논리 이야기 10, 11주 차 요약본

 

좋은 논증의 첫 번째 조건

1) 전제의 수용 가능성

- 우리 자신의 경험

- 선험적으로 참인 진술들

- 상식

- 증언

- 전문가의 의견

2) 승인 불가능성의 오류

a) 오류(나쁜 논증)

- 바르지 못한 논리적 과정 및 그로 인해 생긴 추리나 판단

- 잘못된 논증

- 좋은 논증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논증

- 주로 실수나 부주의, 잘못된 지식에 의해 발생

b) 부적합한 권위에의 호소

c)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

결론에서 증명하려는 주장이 이미 참임을 전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세 가지 형태로 세분

- 핵심이 되는 전제가 참임이 확실하지 않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우

- 결론의 내용을 전제에서 단어들을 바꾸어 미리 보여주는 경우

- 전제가 결론을 지지하지만, 그 전제는 다시 결론의 지지를 받게 되는 순환논증의 형태를 띠는 경우

d) 흑백 사고의 오류

2. 좋은 논증의 두 번째 조건

1) 전제의 결론과의 관련성

- 유관련성: 전제는 결론과 관련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전제가 결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전제가 결론을 조금이라도 지지해야 한다. 만일

전제가 결론과 관련이 없으면 전제는 결론의 참 뿐만 아니라 거짓도 보여주지 못함

2) 전제의 결론과의 관련성 테스트 방법

- 결론이 무엇인지 정확히 하고, 전제와 결론이 정말로 관련성이 있는지 따져볼 것

- 전제의 참이 결론이 참이 될 가능성을 높여 주는가? 전제의 거짓이 결론이 거짓이

될 가능성을 더 높여 주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