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곳에서의 하룻밤
밤새 내내
자동차 소음에 시달렸다.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것들이
윙윙대며 나를 깨운다
창문을 열고
소음을 안에 들여놓는다
삶의 배경이 될 음악이라고 생각하며 어떨까
빙긋 미소 지으니
창밖 높다란 나무의 초록이 한결 싱그럽다
아침 햇살이 키스를 퍼붓기라도 했을까?
일렁이는 나뭇가지들이
마치 나 같다
집을 나서야만 했는데
잠깐 수다에
시간은 흐르고...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33
즐거운 논리 이야기 요약본 (3 – 4주차)
논리와 논리학, 논리적 사고의 근본 원리, 언어와 사고, 정의
6. 논리학의 공리
- 동일율: 동일한 사고 과정에서 개념 또는 판단은 반드시 동일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으로
앞에서 한 번 썼던 개념이나 판단은 뒤에서 쓸 때도 동일하게 써야한다는 규칙
동일율의 동일은 상대적 동일이다.
동일율은 A는 A이다로 표현된다.
- 모순율: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과 관계 하에서 서로 모순되는 주장을 해서는
안 된다는 규칙
함께 성립할 수 없는 관계에 있는 개념이나 판단을 동시에 쓸 수 없다는 규칙
A는 非A가 아니다 – A이다의 이중부정(형식은 다르지만 내용은 동일)
이 원리를 어기면 우리의 논리적 사고작용은 불가능
- 배중률: 상호 모순되는 두 가지 판단 중에 오직 하나만 옳고, 다른 것은 틀리며 제 3의 판 단은 있을 수 없다는 규칙
중간을 허용하지 않는 규칙
A는 A이거나 非A이거나이다.
배중률은 동일률과 모순율에서 도출되는 원리
이것도 저것도 아닌 타협주의, 어물쩍 넘어가는 절충주의, 이것도 옳고 저것도 옳 은 기회주의를 배제
진리를 탐구하는 논리적 기초
7. 언어와 사고
1) 언어의 기능: 의사소통의 도구
세상을 보는 창(관점)
2) 언어의 의미 형성
- 대상에 대한 경험으로 형성되는 표상(일종의 이미지)
- 표상의 보편화(개념), 개념에 대응하는 기호(언어)
8. 언어의 애매함과 모호함
1) 애매함: 언어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쓰는 경우 – 동음이의어, 다의어
애매어의 오류 – 하나의 논증에서 사용되는 개념은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 에도 불구하고 다른 의미로 해석할 때 발생하는 오류
2) 모호함: 의미가 부정확하여 적용되는 범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
강조의 오류: 문장의 특정 부분이나 단어를 의도적으로 강조하여 본래의 뜻을 잘못 이해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
9. 개념과 정의
1) 정의 – 단어(기호)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대상에 부여하는 것이 아님)
- 어떤 개념의 외연에 대하여 내포를 구성하는 여러 속성 가운데 본질적인 속성 을 제시하여 그 내포를 한정하는 일
- 정의 〓 최근 유개념 + 종차
2) 외연과 내포
외연: 개념이 지칭하는 대상들을 모두 열거한 것 – 개념의 외적, 양적 측면
내포: 개념의 외연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들을 모두 열거한 것 – 개념의 내적, 질적 측면
10. 정의의 종류
1) 외연적 정의: 명시적 정의
- 대상을 정의하는 가장 원초적인 방법
- 해당 용어가 적용되는 개체, 사물, 혹은 사건을 비언어적 방식을 사용 하여 지시하는 방법
- 지시가 정확하지 않으면 엉뚱한 대상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음
- 해당 대상이 없거나 추상적 대상인 경우 정의 불가능
: 열거적 정의
- 단어의 외연에 속하는 개체들의 이름을 열거하는 방법(언어를 통한 외연적 정의)
- 모든 구성원들을 열거할 수 없는 경우
- 구성원들이 이름을 갖고 있지 않거나 이름을 알 수 없는 경우
2) 내포적 정의:a) 약정적 정의
- 어떤 기호에 적절한 의미를 지정함으로써 생겨나는 정의
-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거나 이전에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특징 에 관심을 기울이게 될 때, 약속에 의해 새로운 단어를 도입
- 약정의 목적은 편리함, 비밀 유지, 간결성, 경제성, 혼란을 피함
- 언어의 감정적인 역할을 줄임으로써, 담론을 단순화함으로써, 무모한 논쟁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b) 사전적 정의
- 단어의 통상적 용례를 보여주는 정의(확정된 용법을 설명하거나
애매성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
- 단어가 이미 가지고 있는 의미를 보고하는 것
- 너무 포괄적이거나 협소하면 안 됨
- 사용되고 있는 일상언어의 가변성을 염두에 두어야 함
c) 개량적 정의
- 애매성이나 모호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의
- 개념이 이미 확정적인 용법을 갖고 있지만 적용되는 영역에 따라 엄 밀한 정의가 요구되는 경우에 필요함
d) 이론적 정의
-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한 정의
- 어떤 대상이 적용되는 대상을 이론적으로 알맞고 과학적으로 유용
하게 기술하는 정의
- 이론에 의한 정의, 혹은 이론 내에서 그 개념의 기능, 역할, 위상
등을 밝히는 정의
e) 설득적 정의
- 태도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감정을 움직여서 논쟁을 해소하기
위해 제시되는 정의
- 승인이나 부인의 느낌과 같은 감정의 힘을 전이시키기 위해 고안
된 정의
f) 조작적 정의
- 어떤 표현을 포함하는 문장이 주어진 상황에 올바로 적용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공적으로 관찰 가능
하고 반복 가능한 조작을 기술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정의
3) 내포적 정의의 규칙
정의 = 최근 유개념 + 종차(종개념 간 속성의 차별성)
- 반드시 종의 본질적 속성을 진술해야 한다
- 순환적이어서는 안 된다.
- 지나치게 넓거나 좁아서는 안 된다.
- 애매하거나, 모호하거나, 비유적인 언어가 사용되면 안 된다.
- 긍정적일 수 있을 경우 부정적이어서는 안 된다.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중서(董仲舒)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35 (0) | 2023.05.17 |
---|---|
즐거운 논리 이야기 5, 6주분 요약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34 (0) | 2023.05.15 |
나는 왜 햄릿이라는 캐릭터에 그토록 짜증이 났을까? (0) | 2023.05.03 |
법가의 사상, 한비자를 중심으로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32 (0) | 2023.05.03 |
묵가(墨家)의 사상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31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