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크가 작곡한 곡으로는 'Epistrophy', 'Round Midnight', 'Blue Monk', 'Straight, No Chaser' 그리고 'Well, You Needn't' 등이 있다. 그의 즉흥곡들과 그가 작곡한 곡들은 '조화되지 않은 각진 멜로디들의 하모니(full of dissonant harmonies and angular melodic twists)'로 설명할 수 있다. 셀로니어스 멍크는 특이한 방식으로 피아노 연주에 접근했는데 갑작스럽게 피아노를 툭하고 친다던가, 연주 도중의 극적인 적막 그리고 망설임 등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보편적으로는 찾아볼 수 없는 연주 방식으로 재즈 평론가 필립 라킨(Philip Larkin)는 이에 대해 '코끼리가 피아노를 연주한다.(the elephant on the keyboard)'라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셀로니어스 멍크는 타임지의 커버를 장식한 역대 다섯명의 재즈 음악가 중 한명이다.] 나머지로는 루이 암스트롱, 데이브 브루벡, 듀크 엘링턴, 윈턴 마설리스 네 명이다.
오늘의 앨범 Straight, No Chaser는 재즈 음악가 Thelonious Monk가 1967년에 발매했다. 이 앨범은 3개의 추가 트랙과 전에 요약된 공연들을 회복하여 1996년에 시디로 재 발매되었다.
Thelonious Monk 의 스튜디오 앨범 - straight, no chaser(1967년)
레이블:Columbia
녹음일: 1966년 - 1967년
발매일: 1967 년
길이: 75:56
프로듀서: Teo Macero
Track listing (1996 CD reissue)
1."Locomotive" (Th. Monk) - 6:40
2."I Didn't Know About You" (Duke Ellington) - 6:52
3."Straight, No Chaser" (Th. Monk) - 11:28
4."Japanese Folk Song (Kōjō no Tsuki)" (Rentarō Taki) - 16:42
5."Between the Devil and the Deep Blue Sea" (Harold Arlen) - 7:36
6."We See" (Th. Monk) - 11:37
Bonus tracks on CD reissue
1."This Is My Story, This Is My Song" (Phoebe Knapp) - 1:42 (better known by the title "Blessed Assurance")
2."I Didn't Know About You" (D. Ellington) - 6:49
3."Green Chimneys" (Th. Monk) - 6:34
Personnel
Thelonious Monk - piano
Charlie Rouse - tenor sax
Larry Gales - bass
Ben Riley - drums
https://youtu.be/NCmP2tmcSMg?list=PLDDjIXksP44BRsqjkMMdbAnijFBt5HHxW
![Between the Devil and the Deep Blue Sea](https://coresos-phinf.pstatic.net/a/2j465e/f_b34Ud018svcjo4rd4qdi6de_ds6f5x.jpg?type=ff768_432)
1.
셀로니우스 몽크(Thelonious Monk/1917-1982년생)는 미국 재즈 뮤지션이다.
재즈 피아노의 기인(奇人) 셀로니어스 몽크는 재즈사에 있어서 독보적인 위치의 피아니스트이다. 무대 위에서 신비로운 광기를 발산하는 그는 1917년 10월 10일 북캐롤라이나주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자라면서 피아노를 시작하였다. 6세 때 처음으로 피아노를 만지기 시작한 몽크는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하여 독학으로 피아노를 배우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립했다. 어느 정도 연주가 무르익을 무렵인 10대 시절에는 복음을 전도하기 위해 전도사들과 연주 여행을 다니며 각지의 피아노 연주 스타일을 어린 나이에 익혔다. 유년 시절 집안의 형평이 좋지 못하자 돈을 벌어야 했고 하는 수 없이 17세의 나이에 클럽을 전전하며 일거리를 찾아 나서는 신세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몽크에게는 많은 연주 스타일을 배우는 일종의 전화위복이 되었다. 이렇게 클럽을 전전하며 일을 하던 몽크는 23세가 되어서야 클럽가에서 이름을 떨치게 되었고 유명 연주인들의 사이드맨으로 활약하게 된다. 몽크가 연주하던 클럽은 당시 이름을 떨치던 민턴즈 레이하우스(Minton's Playhouse)라는 곳으로 이곳에서 하우스 밴드(House Band)라 불리우는 고정 밴드에서 피아니스트 테디 윌슨(Teddy Wilson) 밴드에서 리듬 파트를 담당하며 연주 생활을 하게 된다.
럭키 밀린더(Lucky Millinder)와 그리고 쿠티 윌리암스 오케스트라(Cootie Williams Orchestra)에서도 잠시연주를 하던 그는 24세가 되던 1941년, 제리 뉴먼(Jerry Newman)밴드에서 일하는 영광을 얻게된다. 이를 통해 그의 주가는 급상승세를 타고 서서히 인기 있는 연주인으로 등극했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그의 연주는 수준 이하의 연주라는 끔찍한 발언을 일삼았다. 그러나 몽크는 이에 개의치 않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계속 고집하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몽크는 1943년에 최고의 색소포니스트인 콜맨 홉킨스(Coleman hawkins) 식스텟에 가입, 콜맨 홉킨스로부터 재즈의 기초를 다시 배운 뒤 최초의 녹음을 하게 된다. 이 녹음은 콜맨 홉킨스가 주선하게 되었고, 몽크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가르침을 준 콜맨 홉킨스에게 앨범을 헌정하여 앨범의 타이틀 역시 [Flying Hawk]라 명명하게 된다.
1947년에 접어들어 몽크는 본격적인 앨범 녹음과 활동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 시기 몽크의 연주는 자신의 오래전 다듬어지지 않은 연주 스타일에서 벗어나려 많은 노력을 한 흔적이 보인다. 특히 그가 블루노트(Blue Note)에 몸담아 처음으로 녹음한 음반인 [More Genius]에는 조지 거쉰의 곡으로 유명한 ‘Nice Work If You Can Get It’과 ‘Ruby, My Dear’ ‘April in Paris’ 같은 곡들이 담겨 있으며, 트럼펫의 케니 도햄(Kenny Dorham), 드럼의 마왕 맥스 로치(Max Roach), 드럼의 신 아트 블레이키(Art Blakey), 알토 색소폰에 루 도널드슨(Lou Donaldson), 베이스의 귀재 넬슨 보이드(Nelson Boyd), 테너 색소폰의 럭키 탐슨(Lucky Thompson) 등이 대거 참여하여 당대 최고의 앨범을 창조하여 앨범의 가치를 높여 주고 있다. 이 앨범은 훗날 [Genius of Modern Music, Vol. 1 ~ 3]이라는 앨범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며 몽크의 초창기 명반으로 자리 잡는다. 이후 몽크는 밀트 잭슨과 손잡고 밀트 잭슨의 진두지휘 아래 'Criss-Cross'와 'All the Things You Are'가 담겨 있는 또 다른 명반인 [Thelonious Monk/Milt Jackson]를 1948년도에 발표하기에 이른다. 비밥이라는 장르를 개척한 드러머인 케니 클락(Kenny Clarke), 베이스의 신동으로 불리우는 퍼시 해스(Percy Heath), 알토 색소포니스트 루 도널드슨(Lou Donaldson) 등이 참여했으며, 이 시기에 몽크는 밀트 잭슨의 비브라폰 연주로부터 색다른 연주 법을 배우게 되며 그것을 피아노에 적용시키기에 이른다.
50년대로 넘어와 몽크는 더욱 유명해 졌고, 피아니스트이자 보컬리스트로활동했던 조 터너(Joe Turner)의 프랑스 연주 여행에 동참 그 유명한 파리 라이브 [Thelonious Monk and Joe Turner in Paris]를 프랑스의 중소 재즈 레이블인 보그(Vogue)에서 발매한다. 몽크는 조 터너와의 파리 라이브를 끝내자마자 귀국하여 다시 앨범 작업에 들어가 맥스 로치와 퍼시 해스, 아트 블레이키 등과 작업한 [Monk's Moods]를 프레스티지사에서 남기게 되며, 계속해서 1952년도에 [Blue Monk, Vol. 2]와 엔지니어 루디 반 겔더의 소리의 향연이 담겨 있는 앨범 [Thelonious Monk Trio]를 발표하였다. 본 앨범은 당시 평론가들에게 52년도 최고의 앨범으로 평가 받기도 한 수작으로서 연주뿐만 아니라 앨범 재킷에서도 색다른 맛을 찾을 수 있다. 본 작품은 길 멜리(Gil Melle)라는 일러스트레이터가 디자인한 추상적인 앨범 재킷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당시 재즈계에서는 새롭게 앨범 재킷을 사진이 아닌 그림으로 표현하는 유행이 번지기도 했다. 53년도에는 천재 테너맨 소니 롤린스(Sonny Rollins)를 기용 [Work] 앨범을 발표한다.
본 작품은 서양인들이 금기시 여기는 ‘13일의 금요일’에 녹음을 하였고, 몽크는 이러한 사실을 주지시키기 위해 ‘Friday the 13th’라는 곡을 만들어 연주하였다. 몽크의 창조 정신은 끝이 없었고 53년 한 해 동안 무려 8장의 음반([We See], [The Golden Monk], [The Genius of Thelonious Monk], [Thelonious Monk Quintets], [Thelonious Monk Quintets], [Monk] 등)을 녹음하는 괴력을 보여주었지만, 그의 이러한 작업은 모두 당시에는 음반으로 발매되지 않았고 훗날 그의 연주를 기리며 발매되었다. 1955년에는 [Riverside Trios]라는 미니 싱글을 발매하였고, 역시 55년 싱글로 [Pure Monk]를 Milestone에서 발매하였다.
몽크는 재즈 사상 가장 방대한 곡을 만든 천재 피아니스트 겸 작곡자인 듀크 엘링턴(Duke Ellington)에게 경의를 표하며 그의 곡을 자신만의 독특한 어법으로 연주한 앨범 [Plays Duke Ellington]를 55년에 발표한다. 본작에는 비밥의 선구적 역할을 한 베이시스트인 오스카 페티포드(Oscar Pettiford)와 드러머 케니 클락(Kenny Clarke)이 함께한 트리오 연주로 50년대 중기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56년으로 넘어와 위 멤버들과 그리고 아트 블레이키를 가세시켜 몽크의 스탠다드 세계를 보여주었고, 1956년 마일스톤으로 이적하여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품인 [Brilliant Corners]를 발매하게 된다. 본 작품은 몽크의 실험정신이 충만한 작품으로서 그가 50년대 이룩한 다양한 몽크적 선법을 토대로 연주한 스타일이 그대로 적용이 된 앨범이다.
50년대 후반에 들어와 몽크는 좀 더 실험적인 연주를 선보였는데 그 중 하나가 1956년도에 잠시 리버사이드사에게 양해를 구한 뒤 컬럼비아사에서 명연주가 담긴 [Straight, No Chaser]를 발매, 큰 호평을 받는다. 이후 몽크는 마일스 데이비스(Miles Davis) 사단에서 마약 문제로 물러난 존 콜트레인(John Coltrane)을 기용하여 ‘April in Paris’, ‘Round Midnight’, ‘Monk's Mood’, ‘I'm Getting Sentimental over You’ 등이 수록된 [Thelonious Himself]를 1957년 발표한다. 이 음반은 그해의 앨범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1957년에는 존 콜트레인과 많은 작업을 하면서 존 콜트레인에게 음악적 깊이를 한층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앨범 [Monk's Music], [Thelonious With John Coltrane]를 리버사이드에서, 그리고 블루노트에서는 [At The Five Spot]을 발표한다.
[At The Five Spot]은 당시 마약에 빠져 있던 몽크에게 출입 금지령을 내린 대부분의 클럽과 이에 격분한 몽크의 ‘다시는 뉴욕의 클럽에서 연주를 하지 않겠다’는 선언의 와중에서 비롯된 것이다. 몽크가 마약에서 멀어지자 자연히 다시 클럽에 등장하게 되었고, 재빨리 블루노트사가 계약을 하여 'Five Spot'이라는 실험실 같은 클럽에서 연주 한 것을 발표한 것이 바로 [At The Five Spot]이다. 'Five Spot'은 당시 50년대 후반 시카고와 뉴욕 악파를 중심으로 연주되던 실험 정신이 강한 연주인들이 주로 모여 연주하던 아방가르드 색체가 가장 충만한 클럽이었으며, 이 연주 앨범에서는 존 콜트레인과 몽크가 주고 받는 인터플레이는 최고의 명연으로 기록된다. 58년에서 59년까지 몽크는 [Alone In San Francisco](피아노 솔로), [The Thelonious Monk Orchestra At Town Hall], [At The Blackhawk] 등의 앨범을 꾸준히 발표한 뒤에, 1961년 이태리 라이브를 [Thelonious Monk In Italy]라는 타이틀로 발매하게 된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몽크의 60년대 초반의 진수는 바로 61년 발표한 프랑스 파리 실황일 것이다. [Monk In France]는 몽크의 초절기교(超絶技巧)가 모두 담겨 있는 작품으로서 텅 비어 있는 듯한 사운드, 그러나 그 속에 가득 담겨 있는 절제의 미학이 찬란히 빛난다. 이 모든 것은 몽크가 아니면 절대 이룩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몽크는 61년도에 리버사이드와 계약이 끝나자 자신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가장 환영하던 컬럼비아사와 계약을 하고 곧바로 앨범 작업에 들어가 1962년 [Monk's Dream]을 발표한다. 본 작품은 몽크의 스타일 그대로 반영된 전형적인 몽크 스타일 앨범으로서 반음계 진행의 임프로비제이션 스타일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앨범이다. 이후 몽크는 컬럼비아사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실험정신이 강하게 배여 있는 앨범들을 계속 발표하게 된다.[Criss-Cross], [Big Band And Quartet In Concert], [Solo Monk] 등을 발표한다. 위 앨범들 중 [Solo Monk]는 몽크의 콤핑 중 특히 왼손에 의한 싱커페이션이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으로 피아노 솔로 작품집이다. 1967년에는 대중들에게 가장 사랑 받은 작품인 [Underground]를 발표하여 흐르는 강물처럼 평온하며 의미 없이 처대는 솔로 프레이즈가 배제된 절제의 미학을 들려주는 평범한 앨범을 발표, 화제를 모았다.
70년대에는 독일계 da Music의 계열인 Black Lion사에서 Alan Bates의 지휘 아래 [London Collection Vol. 1]을 녹음 발표한 후 건강의 악화로 인하여 더 이상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동료 연주인들의 권유로 1974년 뉴 포트 재즈 축제에 잠시 모습을 보여 연주를 한 뒤 계속되는 건강의 악화로 요양을 하며 작곡에만 전념 방대한 곡을 남기며 간간히 녹음을 하였으나 음반으로 발매된 것은 매우 드물다.
비밥이라는 재즈가 탄생한 이래 가장 독창적인 스타일을 보여준 피아니스트로서의 몽크는 연주와 작곡 양쪽에 있어서 탁월한 재능을 보인 연주인으로 초창기에의 어려운 코드 체인지와 전혀 재즈답지 않은 불규칙한 싱커페이션을 선보여 실험정신이 뛰어난 아티스트로 불리운다.
몽크는 매우 극을 치닫는 연주를 보였으며, 연주시 상당히 절제된 연주를 하면서 그 속에 강한 악센트를 주면서 충격적인 음을 즐기는 스타일리스트로서 트럼펫의 마일스 데이비스와 자주 비교되기도 한다. 심미적이며 추상적인 상상을 즐기는 몽크의 연주에서는 침묵을 주테마로 사용되는 즉흥연주를 발견할 수 있다.
2.
Charlie Rouse (1924 년 4 월 6 일 - 1988 년 11 월 30 일)는 미국의 하드 밥 테너 색소폰 연주자이자 연주자였다. 그의 경력은 10 년 이상 지속 된 Thelonious Monk 과의 협력으로 특징지어진다.
전기
Rouse는 1924 년 Washington DC 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색소폰으로 변하기 전에 클라리넷과 함께 작업했다.
Rouse는 1944년 Billy Eckstine Orchestra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1945년 Dizzy Gillespie Big Band, 1949 ~ 1950 년 Duke Ellington Orchestra, 1950 년 Count Basie 옥 테트, 1953 년 Bull Moose Jackson 과 그의 Buffalo Bearcats, 1955 년 Oscar Pettiford Sextet. 그는 1947 년 Tadd Dameron 으로 데뷔했으며, 1957 년 Paul Quinichette 와 함께 주목할만한 앨범을 만들었다.
그는 1959 년부터 1970 년까지 Thelonious Monk 의 4 중주단 멤버였다. 1980 년 그는 Sphere 그룹의 창립 멤버였습다. Sphere 는 Monk에게 보내는 헌정 앨범으로 시작되었다.
Charlie Rouse는 1988 년 11 월 30 일 64 세 시애틀 대학 병원에서 폐암으로 사망했다.
명예
소행성 10426 Charlierouse 는 공식적으로 1999년에 그것을 발견한 Spacewatch의 미국 천문학자 Joe Montani에 의해 Rouse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1994 년 소행성 11091 Thelonious 도 발견되어 Montani에 의해 명명되었다.
3.
Larry Gales/Lawrence Bernard Gales (1936 년 3 월 25 일 - 1995 년 9 월 12 일) 은 미국의 재즈 더블 베이시스트였다.
인생
Gales는 11 세부터베이스 연주를 시작했으며 1950년대 후반에 Manhattan School of Music 에 참석했다. 그 다음 10 년 동안 JC Heard , Eddie "Lockjaw"Davis , Johnny Griffin , Herbie Mann , Junior Mance 및 Joe Williams 와 함께 일했다. 1964 년부터 1969 년까지 그는 Thelonious Monk Quartet 의 멤버였으며, 그는 광범위하게 녹음하고 전세계를 돌아 다녔다. 1969 년 이후, Gales는 로스 앤젤레스로 이전하여 Erroll Garner , Willie Bobo , Red Rodney , Sweets Edison , Benny Carter , Blue Mitchell , Clark Terry 및 Kenny Burrell 과 함께 현지 현장에서 자주 일했다. 그는 또한 Buddy Tate , Bennie Green , Sonny Stitt , Mary Lou Williams , Jimmy Smith , Sonny Criss 및 Big Joe Turner 와 함께 녹음했다. 지도자로서의 그의 첫 번째 세션은 1990 년 Candid Records 에서 발표 되었다. 1 개의 원본과 5 개의 Thelonious Monk 곡으로 구성되어 앨범은 Monk From A Message 라는 제목을 붙였다.
4.
Ben Riley/벤자민 알렉산더 라일리 주니어 (1933 년 7 월 17 일 - 2017 년 11 월 18 일)는 앨리스 콜트 레인 , 스탠 겟츠 , 우디 허먼 , 에디 "록 죠우"데이비스 , 아마드 자말, 셀로니어스 몽크, 케니 배런와 함께 일한 미국 재즈 드러머였다. 그리고 Sphere 그룹의 멤버로 활동했다. 1970 년대 뉴욕 재즈 쿼텟 (New York Jazz Quartet) 멤버였다.
전기
Benjamin Alexander Riley Jr.는 조지 아주 사바나에서 태어났으며 4 세 때 가족과 함께 뉴욕시로 이사했다. 고등학교 때 그는 학교 밴드에서 연주했고 졸업 후 그는 파라 트로 페인이었던 군대에 합류했으며 군대에서도 연주했다.
1954 년에 군대를 떠났을 때 그는 뉴욕으로 옮겼고 1956 년에는 전문적으로 재즈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그는 Randy Weston , Mary Lou Williams , Sonny Rollins , Woody Herman , Stan Getz , Billy Taylor , Johnny Griffin 과 같은 뮤지션과 연주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은 피아니스트인 Thelonious Monk 과 함께 연주하고 투어하며 녹음한 4 년간의 시간이었다.
죽음
Riley는 2017년 11월 18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해 뉴욕 서쪽 Islip에 묻혔다.
'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Duke Ellington & His Orchestra 의 앨범 Masterpieces by Ellington(1951년) (0) | 2018.01.15 |
---|---|
Thelonious Monk Quartet / Thelonious Monk 스튜디오의 앨범 - Monk's Dream(1963년) (0) | 2018.01.15 |
Bill Evans의 스튜디오 솔로 앨범 New Conversations(1978년) (0) | 2018.01.14 |
Bill Evans의 스튜디오 솔로 앨범- Further Conversations with Myself (0) | 2018.01.14 |
Bill Evans의 스튜디오 솔로 앨범 Conversations with Myself(1963년) (0) | 2018.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