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즐거운 논리이야기 10주, 11주 요약본 -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41

thetraveleroftheuniverse 2023. 5. 27. 13:45

4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23학번 대학 새내기의 분투기 시리즈 41

 

 

 

 

이렇게 맛난 아침을 먹고 산책을 하고
또 다시 공부

 

 

 

 

 

 

즐거운 논리 이야기 10, 11주 차 요약본

 

좋은 논증의 첫 번째 조건

1) 전제의 수용 가능성

- 우리 자신의 경험

- 선험적으로 참인 진술들

- 상식

- 증언

- 전문가의 의견

2) 승인 불가능성의 오류

a) 오류(나쁜 논증)

- 바르지 못한 논리적 과정 및 그로 인해 생긴 추리나 판단

- 잘못된 논증

- 좋은 논증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논증

- 주로 실수나 부주의, 잘못된 지식에 의해 발생

b) 부적합한 권위에의 호소

c) 선결 문제 요구의 오류

결론에서 증명하려는 주장이 이미 참임을 전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세 가지 형태로 세분

- 핵심이 되는 전제가 참임이 확실하지 않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우

- 결론의 내용을 전제에서 단어들을 바꾸어 미리 보여주는 경우

- 전제가 결론을 지지하지만, 그 전제는 다시 결론의 지지를 받게 되는 순환논증의 형태를 띠는 경우

d) 흑백 사고의 오류

2. 좋은 논증의 두 번째 조건

1) 전제의 결론과의 관련성

- 유관련성: 전제는 결론과 관련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전제가 결론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전제가 결론을 조금이라도 지지해야 한다. 만일

전제가 결론과 관련이 없으면 전제는 결론의 참 뿐만 아니라 거짓도 보여주지 못함

2) 전제의 결론과의 관련성 테스트 방법

- 결론이 무엇인지 정확히 하고, 전제와 결론이 정말로 관련성이 있는지 따져볼 것

- 전제의 참이 결론이 참이 될 가능성을 높여 주는가? 전제의 거짓이 결론이 거짓이

될 가능성을 더 높여 주는가?